학술논문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용수 190
- 영문명
-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ettling Velocity of Spherical Microplastic Particl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정성현 서일원 박선구 이효영 김병욱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351~36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해양 및 담수 수계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서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수계 내에 유입된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이송 및 확산 거동에 대한 수치 모의와 생태학적 영향 평가를 위해서는 침강속도(settling velocity)특성 규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거동을 유사 입자(sediment particle)와 유사한 거동을 보인다고 가정하고 있으나, 밀도와 형상 특성이 상이한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대상으로 충분한 실험 및 검증이 수행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입경과 밀도를 갖는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에 대해 입자추적기법을 적용하여 침강 실험을 수행하고, 새로운 침강속도 식의 보정 계수를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층류 영역에서는 Stokes의 관계식과 같은 침강속도와 무차원 입자 직경간에 명확한 선형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천이 영역에서는 비선형관계로 변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천이 영역에서의 비선형성은 항력계수와 입자 레이놀즈수의 관계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났다.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침강속도 경험식의 적용성을 분석한 결과, 유사 입자 기반 경험식들의 경우 20% 이상의 상대 오차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회귀분석을 통해 새롭게 도출된 침강속도 식의 보정 계수를 적용할 경우 기존 유사 입자 연구에서 제안된 경험식들보다 더 높은 예측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the effects of microplastics on water environments is being widely conducted because the discharge of microplastics into the ocean and freshwater systems is rapidly increasing.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he transport and diffusion of microplastics introduced into water systems and evaluation of the ecological impacts, the settling velocities of microplastics must be investigated first. The settling behavior of microplastics has been commonly assumed to be similar to that of sediment particles, but this has not been sufficiently verified for various types of microplastic. In this study, a laboratory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settling velocities of spherical microplastic particles in freshwater using a particle tracking technique, and a new calibration coefficient of the settling velocity was propo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a clear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ing velocity and dimensionless particle diameter in the laminar flow region, as suggested by Stokes' law. However, the settling velocities in the transition region had a nonlinear relationship, which was also clearly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g coefficient and the particle Reynolds number. The evaluation of the existing equations for settling velocity showed that previous empirical equations based on experiments on sediment particles produced relative errors of 20% or more. However, the proposed calibration coefficient provided a more accurate prediction of the settling velocities of microplastic particles than the existing empirical equations based on sediment studies.
목차
1. 서론
2. 입자의 침강 속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
3. 정지수체 침강 실험
4. 실험결과 분석
5. 결론 및 향후 연구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6호 목차
-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 지하 방호시설의 폭압 저감 및 시간 지연을 위한 Expansion Chamber와 Side Chamber 적용
- 격자단위 기반의 우수관망 해석 모형의 개발
-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정보를 활용한 전국 지자체 별 가뭄 피해도 군집분석
-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면적 강수량 추정 내삽 기법의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폭염 영향 요인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 다세대주택 화재 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갈수기 하천수 관리를 위한 물 스트레스 지표의 응용 및 수자원 개발지표의 평가
-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설계홍수량 산정에 반영하는 방법의 개선
- 강우량 및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형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발
- 농경지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탄소중립 효과 및 하천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비회와 저회의 함유량에 따른 모래의 내부마찰각 변화
- 태백산맥 풍하측 대기 물뜀 발생에 관한 수치 실험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공극의 크기 분포 및 주입압력에 따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성 분석
- 방화댐퍼의 이격 설치에 따른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 통합배수관 기법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모형 개발
- 저온 개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평가
-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울 단열재의 미세구조 특성 분석
-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웨이블릿 분석에 근거한 비정상 시계열 확장 방법
- 물 순환 개별 요소의 결합을 통한 통합 도시 물 순환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천급변화구간에 대한 UAV기반 조기경보설정
- 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선형 설계기준의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 평가
- 탄성받침 수평변형에 따른 수직강성 감소 및 슬래브교의 충격계수 변화 분석
- 링 전단 시험장치를 활용한 세립분 함량에 따른 첨두 및 잔류 전단 강도 특성 분석
-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 풍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 특성
- 재해위험도평가표 기반 정비사업 우선순위선정
- 프리파일링 자켓 하부구조물의 그라우트 연결부에서 전단키 배열이 축하중 용량에 미치는 영향
-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 무도상 교량 미끄럼 허용 궤광 시스템의 횡방향 보강판 현장 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