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이용수 57
- 영문명
- Analysis of Repair Standards for Efficiency of School Facilities Centered o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동영 양원직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고종조 중창된 경복궁 후원인 신무문 북측 후원 및 그 측후면의 백악산 후원의 두 후원을 대상으로 그 규모와 건축 구성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신무문 북측 후원은 옥연정 영 역, 경무대 영역, 경농재 영역의 세 권역으로 이루어졌지만, 경무대 영역이 중심이 되어 인재 선발· 양성과 군사 훈련을 지속하며 자주·자강을 도모한 핵심 근거지였으며, 후원이라는 명칭과 달리 통치 영역인 궁궐로서 환궁 장소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백악산 후원은 기본적으로 수려하고 울창한 경관을 갖춘 동시에 국가와 왕실의 안위를 지키는 역할을 하는 백악산의 신성성을 그 근간으로 삼고서 경복궁 재건 당시 궁성으로 둘러싸인 경복궁의 안전 확보를 위해 조성되었으나, 1880년대의 궁성 위쪽으로부터 산꼭대기까지 토성 축조와 태화궁 건립에 따라 기존 경복궁 안전 확보 기능을 강화하고 통치 기능까지 갖춘 후원으로 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후원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경무대 영역 및 태화궁 등을 중심으로 하여 통치 기능을 하였던 경복궁의 중추 장소임을 알 수 있으며, 우리나라 궁궐 후원의 개념과 관련하여 독특한 한국적 특성과 함께, 독자성 및 규모는 물론이고, 격변의 시대에 맞선 고종의 노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신무문 후원 내에서 이건되었지만 그 원래 모습을 온전히 갖추고 있는 옥연정이 현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고종이 이곳에 들러 남긴 시 ‘등옥련정登玉蓮亭’이 전하는 살아있는 문화재로서, 문화재 지정 승격에서 나아가 현존하는 ‘천하제일복지’ 각자 암석 및 〈북궐후원도형〉 등 자료를 통해 원 위치 이건도 검토 가능하여 신무문 북쪽 후원의 역사성 회복에 매우 중요한 문화 유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의해 자행된 경복궁의 기록 왜곡 조작 내용도 고찰한 바, 본 연구가 법궁 경복궁의 규모와 역사를 제대로 밝히고, 청와대 영역과 백악산 일대를 궁역으로 삼은 경복궁 전체 영역에 대한 우선 사적 가지정 후 사적 지정 확대와 경복궁 후원 궁역에 대한 발굴 조사 및 경복궁 복원 정비에 필요한 기초 학술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review the area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Rear garden of Gyeongbok Palace which was comprised of the Garden on the north side of Sinmumun and the Baegakssan Garden constructed during King Gojong’s Reign. The former consisted of three areas; Okyeonjeong, Gyeongmudae, and Gyeongnongjae, and it was a key base for selecting talented people, training them, continuing military training, and promoting self-reliance with the Gyeongmudae area at its center, however unlike its name, it was a governing area. The latter, which was situated and based on the beautiful and dense scenery and the sacredness of the mountain to protect the safety of both the country and the royal family,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tection of Gyeongbok Palace that was surrounded by a fortress during the palace’s reconstruction, and it can be seen that, as the earthen fortifications were built from the top of the fortress to the top of the mountain and with Taehwagung Palace also built in the 1880s, he Palace’s security function was strengthened and the function of governance of the Baegaksan Rear Garden was established. From this, it was found that these were the central places of Gyeongbok Palace, which had the function of a garden, but actually served as a function of governance centered on the Gyeongmudae area and Taehwagung Palace. Also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a palace garden in Korea, it was possible to grasp King Gojong's hard effort against the turbulent times as well as to recognize the garden's unique characteristics as a Korean palace garden and enormous siz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record distortion and manipul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conducted by Jap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ere also considered. This study was made to reveal the area size and history of Gyeongbok Palace and to present the basic academic data necessary for the exca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ear garden of Gyeongbok Palace.
목차
1. 서론
2. 유지관리 선행연구 검토 및 실태
3. 유지관리 보수주기의 현황 분석
4. 생애주기를 고려한 수선기준 적용 방안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6호 목차
-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 지하 방호시설의 폭압 저감 및 시간 지연을 위한 Expansion Chamber와 Side Chamber 적용
- 격자단위 기반의 우수관망 해석 모형의 개발
-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정보를 활용한 전국 지자체 별 가뭄 피해도 군집분석
-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면적 강수량 추정 내삽 기법의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폭염 영향 요인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 다세대주택 화재 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갈수기 하천수 관리를 위한 물 스트레스 지표의 응용 및 수자원 개발지표의 평가
-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설계홍수량 산정에 반영하는 방법의 개선
- 강우량 및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형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발
- 농경지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탄소중립 효과 및 하천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비회와 저회의 함유량에 따른 모래의 내부마찰각 변화
- 태백산맥 풍하측 대기 물뜀 발생에 관한 수치 실험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공극의 크기 분포 및 주입압력에 따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성 분석
- 방화댐퍼의 이격 설치에 따른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 통합배수관 기법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모형 개발
- 저온 개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평가
-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울 단열재의 미세구조 특성 분석
-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웨이블릿 분석에 근거한 비정상 시계열 확장 방법
- 물 순환 개별 요소의 결합을 통한 통합 도시 물 순환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천급변화구간에 대한 UAV기반 조기경보설정
- 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선형 설계기준의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 평가
- 탄성받침 수평변형에 따른 수직강성 감소 및 슬래브교의 충격계수 변화 분석
- 링 전단 시험장치를 활용한 세립분 함량에 따른 첨두 및 잔류 전단 강도 특성 분석
-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 풍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 특성
- 재해위험도평가표 기반 정비사업 우선순위선정
- 프리파일링 자켓 하부구조물의 그라우트 연결부에서 전단키 배열이 축하중 용량에 미치는 영향
-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 무도상 교량 미끄럼 허용 궤광 시스템의 횡방향 보강판 현장 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