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이용수 67
- 영문명
- Analysis of Evacuation Times Based on Changing the Arrangements of Neonatal Units in Postnatal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홍상 공하성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157~16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 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모자보건법」은 3층 이상에 산후조리원의 설치를 금지하고 있지만 기존 산후조리원의 80% 이상이 3층 이상에 위치하고 있어 수직피난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신생아실 분산배치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산후조리원에서는 비용절감을 위해 신생아실을 한 곳만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집중배치 는 화재발생 시 모성본능으로 인해 아이와 함께 피난하려는 산모들이 신생아실 앞에서 뒤엉켜 피난에 장애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고려해 신생아실을 한 개만 배치할 경우와 같은 층내에 분산 배치하는 경우, 층별 분산 배치하는 경우 등을 설정하여 변수에 따른 피난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생아실 배치 변경에 따라 피난시간이 최대 584.3초에서 최소 456.0초로 많은 차이를 나타났다. 피난약자인 신생아와 산모의 안전을 고려해 산후조리원의 저층 배치 및 신생아실 배치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 때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changes in evacuation time,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a neonatal unit in a postnatal care center, by using an evacuation simulation program for analysis. Currently, the “Mother And Child Health Care Act, 2022” prohibits the installation of postpartum care centers above the second floor, but more than 80% of existing centers are located on the third floor or higher, producing problems with vertical evacuation. There are also no regulations for the placement of the neonatal unit when only one neonatal unit is in operation.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crowding and confusion would produce problems when mothers are evacuating with their babies. Since there are no regulation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neonatal rooms, postpartum nursing homes are operating only one neonatal room in order to cut costs. Therefore, in such a concentrated arrangement, in the event of a fire, crowding and confusion would produce problems when mothers are evacuating with their babies. Considering these issues, evacuation tim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hanging the layout of a postnatal care center. This included where there was only one neonatal unit, where the neonatal and postpartum units were distributed on the same floor, and where these units were distributed on separate floor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cuation times for the proposed arrangements, ranging from 584.3s to 456.0s. Considering the safety of vulnerable newborns and mothers, regulations for low-floor layouts of postnatal care centers are necessary to ensure quick evacuation.
목차
1. 서론
2. 본론
3. 실험결과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6호 목차
-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 지하 방호시설의 폭압 저감 및 시간 지연을 위한 Expansion Chamber와 Side Chamber 적용
- 격자단위 기반의 우수관망 해석 모형의 개발
-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정보를 활용한 전국 지자체 별 가뭄 피해도 군집분석
-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면적 강수량 추정 내삽 기법의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폭염 영향 요인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 다세대주택 화재 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갈수기 하천수 관리를 위한 물 스트레스 지표의 응용 및 수자원 개발지표의 평가
-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설계홍수량 산정에 반영하는 방법의 개선
- 강우량 및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형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발
- 농경지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탄소중립 효과 및 하천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비회와 저회의 함유량에 따른 모래의 내부마찰각 변화
- 태백산맥 풍하측 대기 물뜀 발생에 관한 수치 실험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공극의 크기 분포 및 주입압력에 따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성 분석
- 방화댐퍼의 이격 설치에 따른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 통합배수관 기법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모형 개발
- 저온 개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평가
-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울 단열재의 미세구조 특성 분석
-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웨이블릿 분석에 근거한 비정상 시계열 확장 방법
- 물 순환 개별 요소의 결합을 통한 통합 도시 물 순환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천급변화구간에 대한 UAV기반 조기경보설정
- 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선형 설계기준의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 평가
- 탄성받침 수평변형에 따른 수직강성 감소 및 슬래브교의 충격계수 변화 분석
- 링 전단 시험장치를 활용한 세립분 함량에 따른 첨두 및 잔류 전단 강도 특성 분석
-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 풍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 특성
- 재해위험도평가표 기반 정비사업 우선순위선정
- 프리파일링 자켓 하부구조물의 그라우트 연결부에서 전단키 배열이 축하중 용량에 미치는 영향
-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 무도상 교량 미끄럼 허용 궤광 시스템의 횡방향 보강판 현장 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