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Analysis of the Method for Enhancing Safety by Predicting and Comparing Damage Ranges Due Owing to Chemical Leakag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황운용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89~9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학물질 도매소업을 하는 장소에서 화학물질 누출에 의한 피해 발생 범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해당장소에서 가장 많이 보관하는 물질 4가지를 선정하였다. 누출량을 50 ㎘씩 증가시키며 메틸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은 누출량 100 ㎘, 톨루엔은 160 ㎘까지 증가시키며 확인하였다. 화학물질의 확산거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의 최근 10년 평균 기온과 풍속, 풍향, 습도 등을 적용하여 총 92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시나리오는 ALOHA Air Dispersion Model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독성 관련하여 각 물질의 PAC-1, PAC-2, PAC-3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화재 발생 가능 범위는 연소하한계의 농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조건에서 동일량이 누출의 경우 연소하한계, PAC-1은 톨루엔에서 가장 멀리까지 농도가 유지되나, PAC-2, PAC-3는 메틸알코올이 더 위험거리가 길게 나타났다. 또한, 누출량에 의한 확산거리는 로그함수적인 증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물질의 독성농도 및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일부 물질의 PAC-Level은 균일하게 확산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물질의 확산폭도 물질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화학물질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에서의 피해범위 예측은 해당장소에 저장된 물질에 대해 모두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시에 물질의 확산거리 외에도 물질의 확산폭도 같이 고려하여 방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o predict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leakages at a place where chemicals are wholesaled, four of the most commonly stored substances in the corresponding place were selected. Leakage volumes were increased by 50 ㎘, and methyl alcohol, ethyl acetate, and methyl ethyl ketone were confirmed by increasing the leakage volume to 100 ㎘ and to 160 ㎘ for toluene. A total of 92 scenarios were created by applying the region’s average temperature,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humidity over the last 10 years to confirm each substance’s diffusion distance. The prepared scenario was analyzed by applying ALOHA air dispersion models. Regarding toxicity, criteria were analyzed based on each substance’s PAC-1, PAC-2, and PAC-3 concentration, and a fire occurrence possibility range was used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the lower flammable limit. Under normal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same amount of leakage, the concentration of the lower flammable limit and PAC-1 was maintained farthest from toluene, but the danger distance of methyl alcohol was farther in PAC-2 and PAC-3. Results showed that the diffusion distance increases the log function with the amount of leakage. However, owing to the substances’ toxic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PAC levels of some substances showed non-uniform results. In addition, diffusion widths differed for each substance. Therefore, to prescribe countermeasures for chemical leakages in storage locations, all substances being stored must be checke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must also be established by considering not only diffusion distances of the substances but also their diffusion widths.
목차
1. 서론
2. 선정배경 및 이론적배경
3. 시나리오 및 피해예측
4. 피해예측 및 결과분석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6호 목차
-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 지하 방호시설의 폭압 저감 및 시간 지연을 위한 Expansion Chamber와 Side Chamber 적용
- 격자단위 기반의 우수관망 해석 모형의 개발
-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정보를 활용한 전국 지자체 별 가뭄 피해도 군집분석
-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면적 강수량 추정 내삽 기법의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폭염 영향 요인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 다세대주택 화재 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갈수기 하천수 관리를 위한 물 스트레스 지표의 응용 및 수자원 개발지표의 평가
-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설계홍수량 산정에 반영하는 방법의 개선
- 강우량 및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형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발
- 농경지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탄소중립 효과 및 하천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비회와 저회의 함유량에 따른 모래의 내부마찰각 변화
- 태백산맥 풍하측 대기 물뜀 발생에 관한 수치 실험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공극의 크기 분포 및 주입압력에 따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성 분석
- 방화댐퍼의 이격 설치에 따른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 통합배수관 기법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모형 개발
- 저온 개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평가
-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울 단열재의 미세구조 특성 분석
-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웨이블릿 분석에 근거한 비정상 시계열 확장 방법
- 물 순환 개별 요소의 결합을 통한 통합 도시 물 순환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천급변화구간에 대한 UAV기반 조기경보설정
- 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선형 설계기준의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 평가
- 탄성받침 수평변형에 따른 수직강성 감소 및 슬래브교의 충격계수 변화 분석
- 링 전단 시험장치를 활용한 세립분 함량에 따른 첨두 및 잔류 전단 강도 특성 분석
-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 풍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 특성
- 재해위험도평가표 기반 정비사업 우선순위선정
- 프리파일링 자켓 하부구조물의 그라우트 연결부에서 전단키 배열이 축하중 용량에 미치는 영향
-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 무도상 교량 미끄럼 허용 궤광 시스템의 횡방향 보강판 현장 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