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의 옥대 설화와 그 정치적 의미

이용수 79

영문명
Silla’s Tale of 'Okdae(玉帶)'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고현아(KO, HYUN AH)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4집, 103~13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에는 옥대와 관련한 설화 두 가지가 있다. 중고기 진평왕대 천사옥대와 중대 신문왕대 흑옥대의 기록이다. 이 두 기록은 ‘옥대’라는 모티브를 공유하고 있어서 시기별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천사옥대는 황룡사의 장육존상, 구층목탑과 함께 신라 삼보 중 하나라 전한다. 황룡사는 진흥왕대부터 전륜성왕의 정치 이념이 반영된 사찰이면서, 신라의 호국을 담당하는 국가사찰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황룡사의 2보는 중고기 전륜성왕의 이념이 진흥왕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었던 측면과 진평왕-선덕왕대 강조되었던 성골이나 석가족 관념과도 관련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주목하였다. 천사옥대의 경우 제석신앙과 관련이 있다는 점, 제석신앙은 선덕왕대 강조된다는 점 등으로 보아 신라 삼보의 인식은 선덕왕대에 완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신문왕대 흑옥대 기록에서 흑옥은 중국의 오행사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오행설은 유교에 바탕을 둔 사상으로 신라에는 중고기대부터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최초로 중국 통일을 이룩한 진시황이 오행설을 바탕으로 검은색을 주색으로 정했다는 것이다. 신문왕대는 새로운 통일 제국의 위상에 걸맞는 새로운 이념이 필요했을 것이며, 그 결과 오행설의 영향을 받은 ‘흑옥’의 설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옥대는 지배자의 상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두 옥대의 설화는 중고기와 중대가 연결되는 상징을 내포하면서도, 한편으로 중대 흑옥대는 새로운 정치 사상이 확립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In Silla, there are two tales relating to Okdae. These are records of a Cheonsaokdae(天賜玉帶) during King Jinpyeong’s reign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of a Heukokdae(黑玉帶) during King Sinmun’s reign in the middle period. These two records were noted early on in each period because they shared the motif of the Okdae. Cheonsaokdae is said to be one of the three treasures of Silla, along with the Jangyukjonsang(丈六尊像) and the Nine-story Wood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Hwangnyongsa Temple reflected the political ideology of Cakravartin(轉輪聖王) from King Jinheung’s reign onward and served as the national temple for protecting Silla. The two treasures of Hwangnyongsa Temple are noteworthy because the ideology of King Jeonryunseong of the middle ancient period was maintained even after King Jinheung and was based on the concepts of Sacred Bone(聖骨) and Seokgajok(釋迦族), which were emphasized from King Jinpyeong to King Seondeok. In the case of Cheonsaokdae, perceptions about Silla’s three treasures appear to have been form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deok, given that it is related to the Jeseok faith(帝釋信仰), which was predominantly practiced during King Seondeok’s reign. Meanwhile, in the records on Heukokdae from King Sinmun’s reign, black jade wa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Five Elements(五行說). The Five Elements theory, based on Confucianism, was introduced in Silla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Particularly worth noting is the fact that Qin Shi Huang, who united China for the first time, chose black as the primary color based on the Five Elements theory. During King Sinmun’s reign, a new ideology was required to match the status of the newly unified empire. Consequently, the tale of the “black jade,” influenced by the Five Elements theory, emerged. Okdae can be viewed as a symbol of the ruler, and the tale of the two okdae is symbolic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the middle period, while the heukokdae of the middle period represents the process by which a new political idea was established.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삼보(三寶)와 진평왕의 천사옥대
Ⅲ. 만파식적과 신문왕의 흑옥대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현아(KO, HYUN AH). (2022).신라의 옥대 설화와 그 정치적 의미. 역사문화연구, (), 103-132

MLA

고현아(KO, HYUN AH). "신라의 옥대 설화와 그 정치적 의미." 역사문화연구, (2022): 103-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