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규식과 대종교(Ⅰ)

이용수 52

영문명
Shin, Kyu-sik and Daejonggyo(Ⅰ)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조남호(Cho, Nam-ho)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4집,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이 글은 신규식 선생의 대종교 사상을 그의 문집인 『아목루』에 실린 시와 『한국혼』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신규식은 나철이 대종교를 중광할 때, 선교하러 만주로 떠날 때, 만주에서 교당을 건립할 때, 이적을 행할 때, 구월산 삼성사에서 자결할 때 모든 행적을 시로 읊었다. 그에게 나철은 생명의 은인이며 단군의 화신으로 여겼고. 나철의 자결을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히는 것에 견주고 나철의 선교 어려움을 석가의 어려운 깨달음에 비견하였다. 그는 대종교의 교리인 삼신이 하나이고 그것이 단군임을 믿었고, 단군을 모신 천궁을 세워 날마다 기도를 하였다. 삼진을 통해 신인합일이 되는 것을 수양공부를 하였다. 신규식은 새로운 나라가 단군이라는 정체성 기준을 가지고 건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은 임시정부에도 반영되었다. 단군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국가 건설은 이 시기의 역사적 과제이며 독립운동가들의 열망이었다. 신규식은 나철의 대종교 선교가 한민족의 정체성이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고 간도지역까지 확대하여 재확인하였다. 간도지역의 한민족 정체성 회복은 항일투쟁시기에 독립운동의 기지가 되었고 다시 1948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에 조선족 자치구를 건립하는 데 든든한 기초를 놓는 대역사이었다. 대종교의 간도지역 선교 의의는 고려시기와 조선시기에 고구려 고토 회복을 외치면서 애써왔으나 큰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지만 대종교가 마침내 이루었다는 것이다. 현재 한민족의 정체(政體, government)가 남한, 북한, 조선족 자치주 셋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신규식은 역사적으로 만주가 단군 이래 우리 영토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Shin, Kyu-sik's thoughts on the Daejonggyo by focusing on the poems 'Amokru' and contents of 'Korean Soul' in his collection of works. Shin, Kyu-sik wrote poetry about Na, Cheol's deeds when he majored in Daejonggyo, when he left for Manchuria for missionary work, when he built a church in Manchuria, when he performed a miracle, and when he committed suicide at Samseongsa Temple in Guwolsan. To him, Na, Cheol was regarded as a life saver and the embodiment of Dangun. Na, Cheol's self-determination was compared to Jesus' crucifixion, and Na, Cheol's missionary difficulties were compared to Shakya's difficult realization. He believed that the three gods, the doctrine of Daejonggyo, were one and that it was Dangun, and he built a heavenly palace that enshrined Dangun and prayed every day. He studied cultivating to become a rookie unity through strikeout, and revealed that he had no original guilt in Christianity. Shin, Kyu-sik thought that a new country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identity standard of Dangun. This was also reflec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one can understand the new ritual only by understanding Daejonggyo. Building a nation-state centered on Dangun was the historical task of this period and the aspirations of independence activists. Shin, Kyu-sik reaffirmed Na, Cheol's missionary work on Daejonggyo by extend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not only to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o the Gando region.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national identity in the Gando region served as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anti-Japanese struggle and was a great story that laid a solid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Chinese Autonomous Reg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8. The significance of Daejonggyo's mission to the Gando region is that it was achieved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even though efforts were made to restore the Goguryeo homeland, but did not achieve great results. The current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政体, government) became an opportunity to form three autonomous provinces: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osen ethnicity. Shin Kyu-sik has historically had the perception that Manchuria has been our territory since Dangun.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남호(Cho, Nam-ho). (2022).신규식과 대종교(Ⅰ). 역사문화연구, (), 5-38

MLA

조남호(Cho, Nam-ho). "신규식과 대종교(Ⅰ)." 역사문화연구, (2022):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