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 방법론을 적용한 한옥 방문객의 주관성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Investigation of Hanok Visitors’ Subjectivity Using Q Methodology: The Case of Chinese Tourist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준우선 이충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3호, 11~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이용하여 한옥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의 주관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옥 방문 중국관광객을 유형화하며, 유형별 한옥 방문객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Q 방법론을 통한 분석결과, 한옥을 방문한 중국관광객 집단은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한국 전통주택 체험추구형’으로 한국의 전통주택을 체험하고, 한국의 문화를 배우고 싶어 하며, 한옥의 매력과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집단이다. 제2유형은 ‘한옥체험을 통한 사교친화 추구형’으로 한옥방문을 통해 가족이나 친지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싶은 의도가 강한 집단이다. 제3유형은 ‘한류매체를 통한 체험추구형’으로 한류영상을 시청함으로써 한옥에 대해 알게 된 후 한옥에 대한 호기심과 애착심이 생겨서 한옥을 방문한 집단이다. 제4유형은 ‘SNS 후기를 통한 체험추구형’으로 SNS를 통해 얻은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타인의 추천을 통해 한옥을 방문한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제5유형은 ‘한옥에 관한 지식탐구 추구형’으로 한옥방문을 통해 한국을 더 많이 알게 되고, 자신의 지식을 충족하려는 의도가 강한 집단이다. 본 연구결과는 학술적으로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통해 한옥 방문객의 주관성을 파악하여 유형화하고, 실무적으로는 한옥 운영자에게 유형화를 통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the subjectivity of Chinese Hanok visitors using Q methodology. It goes on to classify Chinese visitor motivation for Hanok, and examines characteristics of clusters classified by Q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e Q method reveal five clusters that were then classified. The first cluster is called ‘Experience-seekers to a Korean traditional house.’ The subjects of this cluster want to experience a Korean traditional house, learn about Korean culture, and place a high value on the attractions of Hanok. The second cluster is called ‘Socialization-seekers for experience in Hanok.’ These cluster subjects want to enhance their relation with family or relatives and have a strong intention to meet a wide variety of people. The third cluster is called ‘Experience-seekers through Hallyu media.’ These individuals visited Hanok out of curiosity and developed an attachment to Hanok after they watched Hanok as exposed on Hallyu media. The fourth cluster is called ‘Experience-seekers through SNS reviews.’ They are people who visited Hanok because of their high trust in information obtained from SNS and recommendations from others. Finally, the fifth cluster is called ‘Knowledge exploration-seekers of Hanok.’ These individuals are aware of Korea because of a visitation to Hanok and have a strong intention to increase their knowledge.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a theoretical typology of Chinese Hanok visitors based on their subjectivity and using new methodology. The findings will also provide Hanok managers with a marketing strategy that utilizes market seg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Q 방법론을 적용한 한옥 방문객의 주관성 연구
- 공정무역커피에 대한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자 태도 형성과 규범 및 구매의도 간 구조 관계 분석
- 지역 애착심과 사회교환이론을 적용한 농촌관광연구
- 관광개발영향이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지수 수준에 따른 그룹별 인식 및 행동 차이
- 스마트폰 관광정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관여도, 정보가치, 관광정보 사용행동, 그리고 e-커뮤니케이션의 역할
- 서울 소재 특급호텔 객실 요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호텔 속성에 대한 연구
- 지역과 음식의 이미지조화성이 소비감정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개화기 여성과 신문물 커피의 수용양상
- 환경지식과 환경관심이 친환경 와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업무에 대한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을 통한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 분석
- [서평] 팬덤이론을 통한 대중문화상품 소비의 심리적 기제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