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u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among Experience Economy Value-Based Groups: Focused on Deajeon Metropolitan Destination Visitor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장서희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3호, 85~1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의 체험경제 연구들은 경험의 종류와 중요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지만, 체험경제의 용어에서 나타나듯, 경제적인 관점으로 체험경제를 접근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체험경제의 근간이 된 체험효용이론에 기반하여 체험종류 별 체험경제지수를 살펴보고, 체험경제지수 수준에 따른 그룹별 여행패턴, 인식 및 행동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대전광역시를 지난 3년 내 여행한 경험이 있었던 613명 중에서, 앞으로 대전광역시에서 제공하길 원하는 체험거리나 체험프로그램을 제안한 311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술통계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안했던 퍼센타일 기준으로 체험경제지수 수준의 네 개 그룹을 도출하여 여행패턴, 인식, 행동을 비교한 결과, 특히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것은 식음료비, 오락비, 교통비의 지출, 그리고 나이와 소득이었다. 체험경제지수가 높은 그룹이 무엇보다 식음료비와 오락비에서 월등히 많은 소비를 했다는 것은, 기억에 남는 오감체험의 식음료분야와 체험의 근간을 이루는 엔터테인먼트 요소들을 갖는 오락분야라는 연관성을 바탕으로 해석되어진다. 식음료산업에도 감정적 효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들을 끌어들여, 오락적 형태를 가미하는 것이 지출증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체험경제지수가 높은 그룹에서는 이러한 전략의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Several researchers have tried to develop dimensions and scales to manifest experience in a measurable form. However,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in experience economy research, despite being a fundamentally important issue in the tourism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xperience economy rooted in the theory of experienced utility. This is achieved by examining the experience economy values (financial values) associated with experience typ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if traveler trip patterns, perceptions, and behaviors differ among experience economy values-based groups. Out of a total of 613 respondents, the study sample includes 311 respondents. The respondents answered according to experience types and the financial values that they would prefer to have and pa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d ANOVA. The result shows that food, beverage and entertainment expenditures differ particularly. It also shows that four groups were generated by the experience economy values. A strategy in which food, beverage and entertainment blend will help maximize the amount that those in a high experience economy index spen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Q 방법론을 적용한 한옥 방문객의 주관성 연구
- 공정무역커피에 대한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자 태도 형성과 규범 및 구매의도 간 구조 관계 분석
- 지역 애착심과 사회교환이론을 적용한 농촌관광연구
- 관광개발영향이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지수 수준에 따른 그룹별 인식 및 행동 차이
- 스마트폰 관광정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관여도, 정보가치, 관광정보 사용행동, 그리고 e-커뮤니케이션의 역할
- 서울 소재 특급호텔 객실 요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호텔 속성에 대한 연구
- 지역과 음식의 이미지조화성이 소비감정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개화기 여성과 신문물 커피의 수용양상
- 환경지식과 환경관심이 친환경 와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업무에 대한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을 통한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 분석
- [서평] 팬덤이론을 통한 대중문화상품 소비의 심리적 기제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