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심리자본과 업무몰입의의 관계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530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Focusing on Korean Journal Article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전혜지 조현정 김우철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7권 제3호, 37~7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과 업무몰입의 관계에 대한 국내 문헌 분석을 통해 두 변인 간의 관계 뿐 만 아니라 두 변인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선행변인과 결과변인, 매개변인과 조절변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연구한 KCI 등재 학술지 논문 53개에 대해 하위요인들의 연구, 연구대상, 연구변수, 연구방법 등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과 업무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2012년부터 시작되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경영, 관광 등의 분야에서 기업체 직원 및 서비스 종사자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둘째, 두 변인의 관계를 각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할 때, 각 하위요인이 가지는 의미와 구조에 따라 일부 연구에서 비일관적인 결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요구-자원(JD-R) 모델을 기반으로 두 변인의 관계와 관련된 선행/매개/조절/결과 변인들을 분류하고 개념적 통합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commitment in Korea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ub-factors, preceding variables, result variables, mediating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s. The most significant results of analyzing the sub-factors of 53 KCI-listed journal articles that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commitment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2, and most of them involved corporate employees and service workers in the fields of management and tourism. Second,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commitmen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controlled, some studies have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according to the meanings and structures of the sub-factors. Third, the preceding/mediated/modulated/result variabl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JD-R) model, and a conceptual integrated model was employed. This study presents i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