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적자원개발연구에서의 다양성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580
- 영문명
- A Review of the Diversity Research Trends in the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s of the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2000 to 2021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조홍용 김종순 김고헌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7권 제3호,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의 다양성 관련 HRD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음을 고려하여, 해외 HRD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다양성 관련 HRD 연구물의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국내 HRD 연구 및 실천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HRD에서 발행하는 HRD 전문 학술지(HRDQ, ADHR, HRDR, HRDI)에 발행된 2000-2021까지의 문헌 중 연구 제목, 초록에 diversity가 포함된 논문 중, 연구자 간 논문 선별 과정을 거처 총 87편의 논문을 선정했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분석 틀은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포함하는 연구물의 일반적 특성, 다양성 주제(다양성 수준, 다양성 관점, 다양성 주제) 및 HRD 주제로 구성했으며, IBM SPSS 25.0 프로그램과 MS 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든 분석요소에 있어 빈도분석과 게재연도 및 연구주제에 따라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HRD 측면의 다양성 연구 게재논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양성 차원의 경우 개인 차원의 다양성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성 관리전략이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로 분석되었다. Ely & Thomas(2001) 다양성 관점의 경우 차별-공정성 관점으로 연구된 연구물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다양성 관련 HRD 논문들은 주로 훈련개발, 조직개발, 리더십, 비판적 HRD 연구물에서 연구되어왔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의 HRD 분야에 다양성 연구가 더욱 확장되어 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at diversity-related HRD research is in its early stag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diversity-related HRD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provide implications on HRD research and practice. To this end, a total of 87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1 by the AHRD journals (HRDQ, ADHR, HRDR, HRDI) were selected. The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research targets, methods, diversity research topics (dimensions, perspectives, and topics), and HRD research topics. IBM SPSS 25.0 and MS Excel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and cross-analysis for the research purpos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on diversity in the HRD aspect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the period. Second, the studies put a greater focus on diversity at the individual level than that at other levels, and diversity management strategies were found to be the most identified topic. As for perspective analysis, studies carried out from a discrimination/fairness perspective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Finally, a large proportion of diversity-related HRD papers was about topics such as training & development, organizational development, leadership, and critical H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y of diversity in the HRD context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