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

이용수 89

영문명
A Study on the Flower patterns of Chinese, Korean, Japanese white and blue Porcelai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se
발행기관
한국도자학회
저자명
왕일천(Wang, Yi-qian)
간행물 정보
『한국도자학연구』Vol.19 No.2, 99~11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화백자는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동아시아는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도자기 기술은 한 국과일본에차례로도입된다. 또한그지역의문화를녹여나라마다각민족적인특색을가진도자 기를 형성하였다. 꽃문양은 전통 장식문양일 뿐만 아니라, ‘희망', ‘길상', ‘행복' 등 의미로 담고 있어 17~18세기 청화백자에 널리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 연구를 통해 나타난 각 나라만의 청화백 자의 회화적 표현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중·한·일 청화백자의 시대적 배경이나 청화백자 문양의 시대별 분류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 문양의 유형, 형태, 상징성 및 3개국의 장식기법과 청화백자 안료(顔料)의 종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전통 꽃문양의 분류나 변천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하며 앞으로 본인 작품을 창작할 때 활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white and blue porcelain originated in China and East Asia was greatly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Ceramic manufacturing techniques would be introduced to Korea and Japan in turn. The local culture was also incorporated into the ceramics, resulting in ceramics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The floral motifs are not only traditional decorative motifs, but also contain meanings such as 'hope', 'good luck', 'happiness'. there before widely used in white and blue porcelain, especially in the 17th to 18th century.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floral motifs on Chinese, Korea, and Japanese white and blue porcelain form the 17th to 18th centuries, with the hope of introducing the unique expression of white and blue porcelain painting in each country through floral motifs. For this purpose, the period background or the classification of each of celadon white porcelain patterns in China, Japan, and Korea is examined and analyzed in Chapter 2. Chapter 3 compared and analyzed the types, shapes, symbols, and decorative techniques of the three countries and the types of white and blue porcelain pigment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lly understand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and change of this traditional floral pattern, and to utilize it in the future when creating my own works.

목차

Ⅰ. 서론
Ⅱ. 청화백자의 이론적 고찰
Ⅲ.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와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일천(Wang, Yi-qian). (2022).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 한국도자학연구, 19 (2), 99-114

MLA

왕일천(Wang, Yi-qian).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 한국도자학연구, 19.2(2022): 99-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