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토기와 토우에 나타난 문양에 대한 연구

이용수 147

영문명
A Study for the Patterns of Silla Pottery and clay Figurines
발행기관
한국도자학회
저자명
염미란(Yeom, Mi-Lan)
간행물 정보
『한국도자학연구』Vol.19 No.2, 61~8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양은 언어나 문자와 마찬가지로 그 민족이 살아온 환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를 지니며 나름대로 독 특한성격을나타내고있다. 우리고미술중에서특히고신라시대의토우와신라토기에나타나는 문양은 그 시대의 독특한 신앙과 생활양식에서 우러난 자연스럽고 소박한 표현미, 추상미 그리고 자유 롭고도 일부러 꾸미려 하지 않은 조형성과 익살스러운 해학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양의 의미와 함께 신라 토우와 토기의 문양 생성배경으로서의 문양의 기원과 상징 에대해알아본다. 그리고고신라시대에특별히나타나는조형활동으로서의신라토우와함께표현 된문양과신라토기에새겨진갖가지문양의특성을형태와상징에따라분류를하였다. 그문양에는 사물과 이미지를 개념화시켜 기호화한 기하학적 문양이 많았다. 문양은 크게 원점문, 거치문, 파상문, 집선문, 격자문, 선각화문으로 구분했다. 이 문양들에는 문양 자체가 가지는 상징성이 내재해 있고 이 들이 시문 되어 있는 토기와 항아리 어깨 위의 다양한 토우들의 성격과 같이하며 더욱 강조해 주는 역 할을하고있다. 각 문양이 적용된 토기, 토우와 함께 그 형태적 특성과 상징성을 규명하고 그림으로 문양을 직접 그려주고 표현하며 특징적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선사시대 암각화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 아볼수있는이문양들은다산과풍요, 생의영속성을비는민간신앙과주술적신앙이깃들어있고 신라 시대 토우와 토기의 문양으로 계승 발전되어 오늘날에도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Like languages and letters, the patterns have their own unique form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eople lived, and show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mong our ancient art, the patterns especially on the earthenware and Silla earthenware of the ancient Silla period show the natural and simple expression, abstract beauty, free and unintended formability and humorous humor from the unique beliefs and lifestyles of the period.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meaning of the pattern, the origin and symbol of the pattern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Silla clay figurines and pottery patterns are examin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expressed along with Silla figurines as a formative activity that appeared especially in the ancient Silla period and various patterns carved in Silla potter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hapes and symbols. There were many geometric patterns that were symbolized by conceptualizing objects and images. The pattern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circle point pattern, the gable pattern, the wave pattern, the concentration pattern, the lattice pattern, and an incised Figurine pattern. These patterns contain the symbolism of the patterns themselves, and they play a role in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clay figurines of the clay or pottery on which they are enshrined. Along with the clay figurine and pottery to which each pattern was appli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were identified, the patterns were expressed in pictures,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were organized. This pattern, which can be found from prehistoric petroglyphs, contains folk beliefs and shamanistic beliefs wishing for fertility, abundance, and permanence of life, and is well developed as a pattern of clay figurine and pottery in the Silla period, and is still used today.

목차

Ⅰ. 서론
Ⅱ. 문양의 의미와 기원 및 상징
Ⅲ. 신라토기와 토우에 나타난 문양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미란(Yeom, Mi-Lan). (2022).신라 토기와 토우에 나타난 문양에 대한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19 (2), 61-80

MLA

염미란(Yeom, Mi-Lan). "신라 토기와 토우에 나타난 문양에 대한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19.2(2022): 6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