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정문에서 어기부사 ‘就’와 ‘才’의 화용 기능에 관한 대조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A Study on the Pragmatic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Jiu’ and ‘Cai’ in the Negative Sentences of Modern Chinese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이나현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0輯, 195~21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부정문에 출현해서 소위 ‘강조’의 의미를 갖는 어기부사 ‘就’와 ‘才’의 화용 기능 차이를 분석했다. 화자가 ‘就’를 사용하는 것은 청자에게 자신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고, 청자의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반대로 ‘才’는 담화를 시작하며 청자의 동의와 공감을 기대하는 확신 표지 ‘呢’와 결합해 화자의 발화에 대해 청자가 동의하고 공감해 주기를 바란다. 즉, 부정문에서 사용된 ‘就’는 화자의 입장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폐쇄적인 표지라면 ‘才’는 청자의 개입을 허용하는 열린 표지라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d the differences between ‘jiu’ and ‘cai’ in the negative sentences from the view point of pragmatics. The adverbs ‘jiu’ and ‘cai’ are very often used by Chinese speakers, and in negative sentences, these two adverbs represent emphasis. ‘Jiu’ tends to be used with ‘le’ and ‘cai’ with ‘ne’. Both adverbs show the speaker’s emphasis but the pragmatic functional differences in negative sentences. This paper analyzed several corpus data and compared the difference in pragmatics between ‘jiu’ and ‘cai’. Through the analysis, this paper confirmed their ability to contradict each other even though they show the speaker’s subjectivity. 'Jiu' indicates that either the start or end time of an event is earlier than the speaker expected. For this reason, ‘jiu’ has the function of ‘news reporting’ with ‘le’.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emphasis’ usage. ‘Jiu’ unilaterally conveys the speaker’s thoughts to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cai’ is not worthy for ‘news reporting’ because either the start or end time of an event has passed earlier than the speaker expected. In general, ‘cai’ combines with ‘ne’ to gain sympathy from the listener. As such, when a Chinese speaker wants to convey his position, he tends to choose either ‘jiu’ or ‘cai’ according to his purpose of utterance.

목차

1. 서론
2. ‘就’, ‘才’의 주관성
3. ‘就’, ‘才’의 화용 기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나현. (2022).부정문에서 어기부사 ‘就’와 ‘才’의 화용 기능에 관한 대조 연구.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195-211

MLA

이나현. "부정문에서 어기부사 ‘就’와 ‘才’의 화용 기능에 관한 대조 연구."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2): 195-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