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in the Educational Grammar System of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 Based on the comparison of 『语法等级大纲(1996)』 and 『国际大纲(语法)(2014)』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위수광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0輯, 329~3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等级标准』의 중국어 교육문법 요목인 『等级标准(语法)』의 중국어 교육 문법 요목의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语法等级大纲(1996)』및 『国际大纲(语法)(2014)』을 HSK과의 연계성, 문법범주 및 문법항목, 등급체계 및 등급 배열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HSK1.0단계는 중국어 요목 기준, 문법 요목과 연계된 평가요목은 별도로 제정되지 않았고, 등급도 일치하지 않는다. HSK2.0단계는 교육 문법 요목과 연계된 HSK요목은 별도로 제정되었고, 6등급으로 일치시켰다. HSK3.0단계의 『等级标准(语法)』에서는 교육 문법 요목과 HSK요목을 3등 9급 체계로 동일하게 일치시켰다. 『等级标准(语法)』의 등급체계 변화는 국내 중국어교육에도 영향이 있다. 특히 큰 HSK 급수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혼란이 야기되고, 중국어 교육과정, 강의, 시험 및 평가 등에도 변화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等级标准(语法)』의 교육문법 체계는 HSK1.0단계의 『语法等级大纲(1996)』과 거의 일치함으로 형태론 및 통사론 중심의 문법항목 중심으로 중국어의 특징이 충분히 반영되었다.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학습자를 중국어교육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적절성, 효율성, 통용성에 대해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语法等级大纲(1996)』, 『国际大纲(语法)(2014)』, 『等级标准(语法)』의 모두 전반적 상대적 등급 배열, 누적식 등급 배열은 전반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학습자 중국어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 3등 9급으로 변화된 체계에 적절한 문법항목의 선정, 난이도 고려, 등급 배열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HSK도 3등 9급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현시점에서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중국어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준별 문법항목 선정, 내용, 기술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语法等级大纲(1996)』and 『国际大纲(语法)』(2014) to examine the system of Chinese education grammar syllabus of 『等级标准(语法)』. As a result, first, there is no evaluation syllabus linked to the Chinese syllabus standard and grammar syllabus for the HSK1.0 level, and the grades do not match. In the HSK 2.0 level, the educational grammar syllabus and the HSK syllabus were linked, and they were matched to 6 grades. In the HSK 3.0 level 『等级标准(语法)』, the educational grammar syllabus and the HSK syllabus were matched to the 3rd and 9th level system, but the large change in the HSK level caused confusion among learners, and the Chinese curriculum, lectures, tests and evaluations Changes are also needed. Second, the educational grammar system of 『等级标准(语法)』 is almost consistent with 『语法等级大纲(1996)』 of the HSK1.0 lev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entered on morphology and syntax were fully reflected, but it was will have to consider Third, in order to apply 『等级标准(语法)』 to Korean learners, selection of grammar items appropriate for the 3rd and 9th grade changed system, difficulty, grade system, and grade arrangement should be considered. At this point in time when HSK also started with the 3rd and 9th grades,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grammar items, content, and technical methods for each level is necessary in order to apply 『等级标准(语法)』 to Chinese education.
목차
1. 들어가기
2.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의 중국어교육 문법 체계
3. 『等级标准(语法)』과 『语法等级大纲(1996)』, 『国际大纲(语法)(2014)』의 비교분석
4.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정문에서 어기부사 ‘就’와 ‘才’의 화용 기능에 관한 대조 연구
- 명청 시기 사대부의 여가생활 고찰
- 反切 표음방식 고찰
- ‘능원동사’의 의미정보와 품사성의 재조명
- 중국어 존현문에 관한 소고
- ‘한자고고학’ 방법론 구축과 한자연구의 영토 확장
- 한중 주어와 화제에 대한 재분석
- 唐詩의 ‘顧’자 의미 연구
- 중국 정책·공약 표제에서 ‘수+个+X’ 형식의 활용 및 효과
- 眞實與虛構的拮抗
- 사드 이후 한·중 지방정부 국제교류
- 쌍감(双减)정책이 중국의 영어교육 플랫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流媒體平台上以『西遊記』爲原型的IP產出與市場反應 - 以动漫『西行纪』为中心
- 중국 웹 드라마의 특징 및 발전양상 연구
-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等级标准』의 교육 문법 체계 변화 고찰
- 서왕모(西王母) 신화 소재 중국 전통 회화의 세 가지 유형과 예술적 특징
- “V上”结构的语义考察及其意象图式
- 중국 동북3성 조선족학교 언어교육 현황 고찰
- 한·중 수교 30년, 인문교류의 전개와 방향
- 李密 「陳情表」 수사학적 분석
- 중국의 인공지능(AI) 윤리 정책에 관한 연구
- 再议汉语“何况”与韩语“하물며”的语法特点
- 近代以来中国土地制度的历史变迁与启示(1851—1949)
- 李善注『文選』引『史記』各家注及相关注釋芻議
- “巨X”结构中非范畴化X的语法特征考察
- 중국의 부동산세 개혁 추진 과정과 개혁의 난점 및 장애요인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