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Thematic Significance of the First-Person Pronouns in The Waste Land and Vienna
이용수 0
- 영문명
- 황무지와 비엔나에 사용된 1인칭 대명사의 주제적 의의
-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저자명
- 남승원
- 간행물 정보
- 『T. S. 엘리엇연구』제30권 제1호, 103~12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비슷한 시기에 쓰여진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스티븐 스펜더의 비엔나가 각각 어떻게 1인칭 대명사를 사용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유럽의 분열과 정치사회적 탄압이라는 주제가 각 시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조명하는 것이다. 1인칭 대명사 사용에 대한 연구는 시인이 “얼마나”, 또 “어떻게” 자신의 시에 직접 개입하여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는지를 알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황무지속의 1인칭 대명사 “I”의 정체를 찾기 위한 과정이 유럽의 분열이라는 시적 주제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그 다음, 비엔나에서의 “we”와 “they”의 병치가 어떻게 사회주의자들을 향한 정치적 탄압 뿐 아니라 동성애자들을 향한 사회적 탄압을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the first-person pronouns in T. S. Eliot’s The Waste Land (1922) and Stephen Spender’s Vienna (1934) to argue that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first-person narrative is employed in each poem highlight the themes of fragmentation and socio-political oppression respectively. Literary critics have largely focused o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oems in criticizing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the society they were written in, but little research to date has examined their use of the first-person pronoun. The first-person poetic voice is worth investigating as it provides insight on to what extent and by what means the poets themselves strive to enter their poems to deliver a (political) message to their generation which was suffering in the post-war period. In this paper, the identification processes of “I”s in The Waste Land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role in underscoring the poetic theme of fragmentation. Next, the juxtaposition of “we” with “they” in Vienna is studied to reveal the way in which it reflects the socio-political oppression that was going on against the socialists and the homosexuals in Europe at the tim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Use of “I” in The Waste Land
Ⅲ. The Use of “we” in Vienna
Ⅳ.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