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Structure of Dichotomies in Čapek’s Drama The Mother

이용수 10

영문명
The Structure of Dichotomies in Čapek’s Drama The Mother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유선비(Sunbee Yu)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제46권 3호, 113~13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카렐 차페크의 희곡 『어머니』는 1938년 발간된 그의 생애 마지막 희곡작품이다. 이 희곡은 그 이전의 극작에서 보였던 환상적인 혹은 가상적인 모티브들이 배제된 무척 현실적이고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작품이다. 가정을 자신 삶의 중심에 두고 살아가고 가족의 행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어머니와는 다르게 남편과 아들들은 남자의 세상 혹은 더 큰 무엇인가를 위해서 기꺼이 죽음을 선택한다. 이들 사이의 갈등은 시민 전쟁과 외침이라는 두 개의 위험한 배경을 두고 고조되고 대립하다가 결국에는 주인공이 조국의 위태로움 앞에서 마지막 남은 아들을 스스로 전쟁터로 내보내는 결심을 하면서 해소된다. 이 작품은 당시 시대적인 상황을 암시하거나 드라마틱한 전개를 위주로 하기 보다는 여성과 남성의 다름과 대립 혹은 세대 간의 갈등과 같이 인물들 간의 토의가 극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장소가 고정되어 있는 등 많은 요소들이 다른 작품들보다 더 고전적인 극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은 공간을 이용하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 매우 탁월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유일한 배경은 ‘아버지의 방’이다. 이것은 고정된 유일한 공간이면서도 하나의 특성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공간의 모습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차페크는 한 장소를 통해 여주인공 어머니와 그녀의 남편과 아이들 사이의 차이를 보여주는 남과 여의 공간, 배경으로 고정되어 있는 아버지의 방과 보이지 않는 외부의 세계를 다룬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공간, 좌파와 우파 등 사상적 대립을 상징하는 흑과 백의 공간, 살아있는 어머니와 이미 죽은 자들이 함께 만나는 산 자와 죽은 자의 공간이라는 다양한 공간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차페크는 하나의 방을 다채로운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구조화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Mother is Karel Čapek's final play. The work, written in 1938, reveals a departure from the usual scientific and fantastical themes heretofore employed by the writer, such as robots, immortality, terminal illness and so on. This play, resembling a classical drama, is framed by a series of dichotomic conflicts. Of the various conflicts presented in the play, including life versus death, the visible versus the invisible space, the older generation versus the younger generation, the most fundamental conflict is that between the world of women and the world of men. Through the framework of these confliction dichotomies, we see the gradual change in the mother's views by the end of the play. This is almost certainly the writer’s intention. Like the grandly dramatic endings of past classical dramas, the playwright creates the utmost impact with the mother’s final words, ‘Go!’ The meaning of confrontation by Čapek in his work is not to emphasize that they are at odds with each other. The open confrontation between man and woman in everyday life has been taken for gran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just as black and white oppose. This difference does not mean that we should exclude each other and one should prevail. Just as Čapek did not say that either of the opposite things was right, he shows that we need to recognize that they co-exist and acknowledge each other’s differences. What sets this play apart from previous works is the author’s attitude. Each idea or issue has its own principles and logic, so Čapek, who does not say that a particular one is correct, chooses one in this work.

목차

1. Introduction
2. The Structure of Dichotomies
3.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선비(Sunbee Yu). (2022).The Structure of Dichotomies in Čapek’s Drama The Mother. 동유럽발칸연구, 46 (3), 113-131

MLA

유선비(Sunbee Yu). "The Structure of Dichotomies in Čapek’s Drama The Mother." 동유럽발칸연구, 46.3(2022): 113-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