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층언어(Diglossia)’와 ‘빈드어(Windisch)’ 논쟁으로 살펴본 체제전환 이후 슬로베니아 언어정책 양상

이용수 27

영문명
Aspects of Slovenia’s Language Policy after the Tran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glossia’ and ‘Windisch Theory’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권혁재(Hyok Jae Kwo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제46권 3호, 3~3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유럽 체제전환과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연방의 해체는 슬로베니아 역사에 가장 의미 있는 사건이다. 이 변동을 통해 슬로베니아는 7세기 발칸지역에 정착한 이후 처음으로 자력으로 독립된 국가를 얻을 수 있었다. 슬로베니아의 역사는 한마디로 속국의 역사, 편입의 역사였다. 이전의 역사에서 슬로베니아는 항상 강대국 우산 아래에서 그들의 민족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1991년 역사상 처음으로 독립 민족 국가를 수립한 슬로베니아의 우선 과제는 국가 정체성, 민족 정체성의 확립이었다. 슬로베니아어는 그러한 슬로베니아 민족의 신성한 상징이고 국가 정체성의 핵심 기준이다. 진정한 슬로베니아 민족 국가의 모습은 공공의 영역이나 개인의 영역에서 순수한 슬로베니아어를 온전하게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전의 역사에서 슬로베니아는 이 과제를 완성하지 못했고 더 큰 문제는 슬로베니아 대중이 지닌 슬로베니아어 인식이었다. 지속적인 외세의 문화적 지배로 슬로베니아인은 스스로 슬로베니아어를 외면했다. 모국어인 슬로베니아가 항상 ‘하위어(Low Variety)’였고 통치 세력의 언어가 ‘상위어(High Variety)’인 ‘양층언어(Diglossia) 현상’이 일상이었다. 지배 계층의 언어와 혼합된 ‘빈드어(Windisch)’가 슬로베니아어를 대체하고 더 나아가 민족 정체성을 결정하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혼란함을 슬로베니아인은 저항하지 않고 받아들였다. 1991년 최초의 민족 국가 수립은 대내외적으로 슬로베니아어 위상 향상에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체제전환기 슬로베니아 정부는 모든 영역에서 순수 슬로베니아어 사용을 강제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전의 역사에서 발칸인, 슬라브인이기보다 유럽인으로 살아온 슬로베니아인에게 순수주의 언어정책은 오히려 낯선 이념이었다. 일반 대중은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세계화, 유럽화와 연계될 수 있는 언어정책을 희망하였다. 체제전환 이후 슬로베니아 언어정책은 정권의 성향에 따라 변화되며 일관성이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한다. 현재까지도 슬로베니아 민족의 신성한 상징, 슬로베니아어의 완성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민족 과제로 남아있다.

영문 초록

The transition to Eastern Europe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were the most significant events in Slovenian history. This change allowed Slovenia to gain its first independent state since settling in the Balkans in the 7th century. The history of Slovenia was, in short, the history of the incorporation. In previous history, Slovenia has always maintained their ethnicity and language under the umbrella of a powerful nation. In 1991,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Slovenia established an independent ‘nation-state’. The first priority of Slovenia was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identity, a national identity. The Slovenian language is a symbol of the Slovenian nation and national identity. In previous history, Slovenia did not complete this task, and the bigger problem was the Slovenian public's perception of the Slovenian language. Due to the continued cultural dominance of foreign powers, the Slovenians themselves turned a blind eye to the pure Slovenian language. Slovenian language was always a low variety in the ‘Diglossia Phenomenon’. The Slovenian accepted the ‘Windisch Theory’ and ‘Diglossia’ without resistance. The regime chang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iest national state were important turning point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Slovenian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Slovenia tried to solve this through a state-led language policy. In the early days of the regime change, Slovenian language policy attempted to force the use of pure Slovenian language in all public sphere. However, Slovenes lived in previous history as Europeans rather than Balkans, Slavs. The general public in Slovenia tended to perceive the purist language policy as a product of backward Balkan nationalism. Contrary to the government's intention, the general public hoped for a Slovenian language policy that could be linked to globalization and Europeanization. The expansion of English, which can be called the language of globaliz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another ‘Diglossia phenomenon’ despite the Slovenian government's regulations. After the regime change, Slovenian language policy changed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regime and failed to present a consistent direction. To this day, the completion of pure Slovenian language, the sacred symbol of the Slovenian people, remains an unresolved national task.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슬로베니아어, 빈드어, 양층언어 현상
3. 체제전환기 슬로베니아 언어정책
4.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혁재(Hyok Jae Kwon). (2022).‘양층언어(Diglossia)’와 ‘빈드어(Windisch)’ 논쟁으로 살펴본 체제전환 이후 슬로베니아 언어정책 양상. 동유럽발칸연구, 46 (3), 3-33

MLA

권혁재(Hyok Jae Kwon). "‘양층언어(Diglossia)’와 ‘빈드어(Windisch)’ 논쟁으로 살펴본 체제전환 이후 슬로베니아 언어정책 양상." 동유럽발칸연구, 46.3(2022): 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