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엘리아데 소설 『뱀(Şarpele)』의 내러티브와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Coincidentia oppositorum)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Narrative of Eliade Novel Snake and Study of Coincidentia Oppositorum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한성숙(Seong Suk Ha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제46권 3호, 91~11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세기 위대한 종교학자이자 신화이론가인 미르체아 엘리아데에게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은 상반된 요소들이 대립 없이 공존하는 것으로, 인간에게 대립적인 요소들을 현실의 상호보완적인 다양한 측면으로 이해하도록 만드는 통일성을 다시 회복하려는 욕구이다. 엘리아데가 추구하는 것은 바로 인간에 대한 실용성이 아닌 총체적인 통찰력으로 이 시대에 새로운 시각을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존재와 무(無), 현실과 환상, 낮과 밤, 역사와 신화, 성스러움과 속함은 서로 반대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엘리아데는 이러한 반대되는 개념들이 서로 총체적으로 만나게 되며, 새로운 휴머니즘의 열쇠가 된다고 한다. 엘리아데는 환상소설『뱀』의 내러티브를 통해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과 같은 상반된 것들이 단순히 형식적인 것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차원에서 드러나고 있는 총체성의 신비에 대한 인간의 존재론적 갈망을 표명하고 있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이 사는 세상에서 경험하는 것들로 인해 상반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 또한 그들의 실재를 규정한다. 그러나 선과 악의 모순은 위장된 성의 현현으로 인해 인간은 대립을 초월하게 되고, 대립의 합일을 끌어내며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조화가 이루어진다. 곧 이것의 상징은 신성한 결혼이라 말할 수 있다. 신성한 결혼은 남녀의 결합으로 결혼, 즉, 대립물의 화해, 상호작용, 합일이자 신과 지상 세계가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소설 속에서 안드로닉과 도리나는 성경에 나오는 최초의 인류인 아담과 하와처럼, 최초의 사람 아담의 완전함 안에서 자유와 풍요를 의미하는 낙원의 상태 안에 거하게 된다. 엘리아데 환상소설의 내러티브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변화하지 않는 성스러움의 구조를 발견하고, 인간 조건을 초월하는 또 다른 존재 방식을 일깨워 준다. 그래서 보이는 현실 너머에 성스러움을 인식하게 하는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은 시대와 관계없이 인간이 겪는 모순되는 것의 편협한 시각을 초월하여 인간에 대한 총체성을 일깨워 주고, 타자와의 단절이 아닌 근본적인 인간의 삶의 가치를 여는 미래의 새로운 휴머니즘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영문 초록

For Mircea Eliade, Romanian historian of religion fiction writer philosopher of the 20th century Coincidentia oppositorum is coexistence of opposite parts without contradiction and it is the desire to recover the unification by understanding complimentary elements of opposite parts. What Eliade is pursuing is that we need to open a new perspective in this era with a total insight rather then practicality for human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existence and non-existence, reality and fantasy, day and night, history and mythology sacred and profane have opposite properties. However Eliade says that these opposing concepts meet each other totally and become the key to a New Humanism. Eliade depicted our existential desire for the mysteries of totality that is revealed in various dimensions in the narrative of his fantasy novel the Snake. According to Eliade human being determines his existence of opposite things by experience in his life. But the disguised appearance of discrepancy of good and evil makes man transcend beyond opposition and the harmony of anima and animus symbolize the sacred marriage. At the point of cosmos marriage between heaven and earth is an act of creation and creation of life. Sacred marriage are connection of man and woman, melting of opposite things, interaction oneness and connection between man and God. In this novel main character Andronic and Dorina live in paradise of freedom and richness like Adam and Eve in the Bible. Coincidentia oppositorum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makeup of the constant holiness in the ever changing world. And Eliade's interpretation about Coincidentia oppositorum are realization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human beings unbiased regardless of ages and creating New Humanism which values human life instead of isolating i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엘리아데와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Coincidentia oppositorum): 공감
3. 소설 『뱀』의 내러티브와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
4.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성숙(Seong Suk Han). (2022).엘리아데 소설 『뱀(Şarpele)』의 내러티브와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Coincidentia oppositorum)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46 (3), 91-111

MLA

한성숙(Seong Suk Han). "엘리아데 소설 『뱀(Şarpele)』의 내러티브와 코인치덴찌아 오포지토룸(Coincidentia oppositorum)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46.3(2022): 91-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