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체코어-폴란드어 언어접촉에 관한 통시적 연구

이용수 21

영문명
A Diachronic Study of Czech-Polish Language Contact: Focused on the Reception of Czech Language in Poland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인천(Inchon Kim)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제46권 3호, 35~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체코어는 지리적 이웃관계에 있는 독일어와 슬로바키아어 그리고 폴란드어와 ‘언어접촉’이라는 영역에서 상당히 유의미한 사회언어학적 현상들을 보여준다. 체코어가 개별 언어들과의 접촉에서 갖는 동기와 조건 그리고 인과관계는 다양하며 그 언어학적 의미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체코어와 독일어와의 언어접촉에서는 언어 갈등과 언어 순수주의의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슬로바키아어와는 이중 언어의 문제 그리고 폴란드어와는 16세기의 폴란드 문어 형성에 끼친 체코어의 영향이 사회언어학적 주제로 주목을 받아 왔다. 특히 체코어와 폴란드어의 긴밀한 접촉은 초기 왕조 간의 긴밀한 연맹관계를 통한 폴란드의 기독교화와 구르니 실롱스크(Górny Śląsk, Upper Silesia)의 특수한 역사-지리적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두 언어가 원슬라브어에서 분화한 서슬라브어로서의 언어 계통학적 유사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폴란드가 체코어를 수용함에 있어 나타난 다양한 사회언어학적 요인들을 고찰하고 체코어의 영향으로 폴란드어에 나타난 어휘적 차용과 언어적 변화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zech shows many significant sociolinguistic phenomena in the field of language contact between German, Slovak and Polish respectively, which are geographically neighboring languages. The motives, conditions and cause and effect for the contact between each language can be various and have different linguistic meanings. Historically, Czech has exhibited sociolinguistic aspects such as language conflict and linguistic purism regarding German in contact and bilingual questions with Slovak. In respect with Polish in contact, however Czech had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olish literary language, especially in the 16th century. The history of close contact between two languages started from the Christianization of Poland through the Czech-Polish alliance and the specific historico-geographic factors of High Silesia. Moreover the linguistic similarity of the two languages as the West Slavonic had been catalyzed Czech-Polish language contact.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the various sociolinguistic factors which serve to reception of Czech language in Poland and examines the examples of lexical borrowings and some linguistic changes influenced by Czech.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폴란드에서의 체코어의 수용
4. 체코에서의 폴란드어의 수용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천(Inchon Kim). (2022).체코어-폴란드어 언어접촉에 관한 통시적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46 (3), 35-61

MLA

김인천(Inchon Kim). "체코어-폴란드어 언어접촉에 관한 통시적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46.3(2022): 3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