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리소설로서의 『우리들』

이용수 43

영문명
Evgeny Zamyatin’s We as Psychological Novel: Change of Protagonist and the Theme of Doubl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문준일(Joonil Moo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제46권 3호, 63~8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유토피아문학, 디스토피아 문학으로만 평가되던 예브게니 자먀찐의 「우리들」을 새로운 독법으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이 작품은 장르적인 측면에서 보면 매우 복잡하고 흥미로운 현상의 텍스트이다. 「우리들」에서는 장르 실험이 극단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토피아의 외피를 입은 이 소설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내부에 사랑소설, 모험소설, 심리소설의 장르적 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있고 그것들은 마침내 철학소설로 귀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장르 구조 해석의 확대와 심화는 「우리들」의 해석에 결정적 순간들을 제공한다. 그 이유는 이 텍스트는 단순히 몇 가지 장르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는 정도가 아니라, 다양한 장르구조의 틀을 적용해야만 이 텍스트의 심층해석이 가능한 유기적 복합장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맥락에서 중요한 점은 이 텍스트의 내부에서 장르간의 상호관계가 평행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한 장르에서 다른 장르가 흘러나오는 식으로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장르로서의 「우리들」에서 가장 기본적인 장르구조는 메타픽션 장르이다. 「우리들」은 ‘소설쓰기에 대한 소설’이며, 이 장르적 특징이 이 작품의 기본적인 서사구조를 결정하고 있다. 하지만 서사시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주인공의 변환, 즉 수학자에서 시인으로의 변환이 발생한다. 이 변환과정은 주인공의 존재론적 혼란을 야기하고, 그에 따르는 심리적 동요와 고통을 수반한다. 그리고 주인공의 심리적 혼란은 이제 소설을 이끄는 주요한 동력이 된다. 그 혼란의 문학적 표현은 분신 테마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 테마 속에는 주인공의 혼란을 나타내기 위한 여러 가지 라이트모티프들이 의미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렇게 『우리들』 속의 복잡한 심리소설 장치들을 구분해 내서, 이 작품이 가지는 심층적 의미구조를 밝히는 데에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interpret Evgeny Zamyatin’s We, which was evaluated only as utopian literature and dystopian literature, with a new reading method. In terms of genre, this work is a text of a very complex and interesting phenomenon. In We, genre experimentation is done to the extreme. Wearing a utopia envelope, if you look closely, the genre elements of love novels, adventure novels, and psychological novels are organic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nd they have a structure that ultimately leads to a philosophical novel. Therefore,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e genre structure interpretation provides decisive moments in the interpretation of We. The reason is that this text is not simply a combination of several genre elements, but has an organic complex genre structure that allows in-depth interpretation of this text only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various genre structures. The important point in this context is that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genres do not proceed in parallel within this text, but rather organically as one genre flows out of another. The most basic genre structure in We as such a complex genre is the metafiction genre. We is a novel about writing novel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is genre determine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of this work. However,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 epic poem, an unexpected transformation of the protagonist, that is, from a mathematician to a poet, occurs. This transformation process causes the main character’s ontological confusion and is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agitation and pain. And the psychological confusion of the protagonist is now the main driving force for the novel. The literary expression of the confusion appears in the theme of the alter ego. And in the theme, various light motifs to represent the confusion of the main character constitute the semantic structure.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in-depth semantic structure of this work by classifying the complex psychological novel devices in W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주인공의 변화와 분신 테마
3.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준일(Joonil Moon). (2022).심리소설로서의 『우리들』. 동유럽발칸연구, 46 (3), 63-89

MLA

문준일(Joonil Moon). "심리소설로서의 『우리들』." 동유럽발칸연구, 46.3(2022): 6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