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 70년대 한·미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교환

이용수 76

영문명
Educational Exchange by Fulbright Program in Korea and the U.S. in 1960s and 1970s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장영민(CHANG Young-min)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01집, 227~26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70년대에 걸쳐서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한·미 교육교환, 학자 교류를 개관하였다. 한국인 대상 장학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제도로서 프로그램의 운영과 그 과정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결과와 성격의 이해를시도하였다.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은 고등교육의 교류를 통한 양국의 상호이해를 내세웠으나, 미국 정부의 대한정책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한·미 풀브라이트협정에 따라서 1960년 공동운영기구인 미국교육위원단을 구성하고,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체적 목표는 한국의 경제개발을 비롯한 정치적 민주주의의 발전, 반공의 강화, 양국 문화의 상호교류였다. 그중에서도 경제성장에 초점을 둔 국가개발이 가장 중요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운영하였다. 그 프로젝트는 사회과학을 위주로 구성되었고, 경제적생산과 연관된 과학교육과 양국인의 소통 매체로서 영어가 중시되었으므로, 한국인 파견자는 이런 분야에서 가장 많았다. 20년간 학생 361명을 포함한 교수, 연구학자, 교사 504명의 한국인이, 그리고 대다수 교수인 미국인 294명이 태평양을 건넜고, 그 결과 미국의 지식과 기술은 학문과 교육뿐 아니라 한국의 사회와 문화 등 거의 모든 영역에 뿌리를 깊게 내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xchange of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Fulbright program in the 1960s and 1970s. Focusing on scholarship program for Koreans,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and its process were mainly consider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understand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The Fulbright program presented a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exchanges in the higher education, but it was used as a means of policy toward the U.S. government. According to the Korea-U.S. Fulbright Agreement, a joint operating organization, the American Education Committee in Korea was formed in 1960, an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earnest. The main goals of the program were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the strengthening of anti-communism, and mutual exchange and understanding of the two cultures. Among them, national development focused on economic growth was the most important, and a project was operated to realize this. That project consisted mainly of social science, and English was emphasized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economic production. Korean exchange visitors were the most common in theses fields. Over the past 20 years, 504 Koreans professors, researchers, teachers including 361 students, and 294 Americans, the majority of instructors, have crossed the Pacific Ocean. As a result, American knowledge and technology have been deeply rooted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as well as academics and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풀브라이트 협정의 이행과 교육위원단의 운영
3. 프로그램의 운영과 재정
4. 한국인 장학생의 선발과 파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영민(CHANG Young-min). (2022).1960~ 70년대 한·미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교환. 한국근현대사연구, (), 227-268

MLA

장영민(CHANG Young-min). "1960~ 70년대 한·미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교환." 한국근현대사연구, (2022): 227-2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