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한 밭가뭄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이용수 140

영문명
Development of Drought Vulnerability Index for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Data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 4호, 11~17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강우에 큰 영향을 받는 밭가뭄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논벼의 경우 농업용 저수지, 양수장 등과 같은 농업수리시설물에서 용수를 공급받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 반면,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관개전은 전국 밭 면적의 18.5%에 불과하다. 밭작물 용수공급의 경우 대부분 자연 강우에 의존하고 있으며, 용수공급시설의 부족으로 가뭄 피해에 대한 대응 능력이 낮기 때문에 밭가뭄 취약성 및 취약지역 평가가 요구된다. 현재 기상 및 농업가뭄 정보의 경우 작물의 특성과 재배기간을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밭가뭄을 대응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강수량과토양수분은 밭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밭가뭄 평가를 위하여 농촌진흥청 토양수분관측망과 기상청 종관기상관측소에서 수집한 토양수분 및 기상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토양수분관측망의 경우 전국 168개지점에 토양수분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기상관측망의 경우 종관기상관측소(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102개 지점, 방재기상관측소(Automatic Weather System, AWS) 510개 지점에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또한, 시군단위 밭가뭄 취약성 평가를 위하여 국가지하수관측망의 지하수위 데이터 및 공공관정 등 관개시설물 정보를수집하였으며, 토양유효수분, 토양수분가뭄지수, 밭작물 필요수량, 지하수위 등을 활용하여 밭가뭄 취약성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with changing rainfall patterns worldwide due to climate change, the effects and damages of upland crops are increasing. A water supply system from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agricultural reservoirs and pumping stations has been established in paddy fields, whereas irrigation uplands equipped with water supply facilities account for only 18.5% of the upland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vulnerable areas of upland droughts because they depend on natural rainfall and lack the ability to respond to drought damage. Currently, there is limited drought information to respond to an upland drought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crops and actual cultivation period are not analyzed. Soil moisture directly resulting from rainfall shortage is highly related to drought, especially for upland crops and vegetation. Therefore, upland crops drought can be evaluated using soil moisture and weather data. In this study, an upland drought vulnerability index based on runs theory and entropy method was developed using effective soil moisture, soil moisture drought index, and groundwater level. Soil moisture and meteorologic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oil moisture observation network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weather observation network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Upland Drought Vulnerability Index (UDVI)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upland drought vulnerabil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한 밭가뭄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 (4), 11-17

MLA

.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한 밭가뭄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4(2022): 1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