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우담(鮮于澹)의 해방 이후(1945-1962) 활동과 회화 연구
이용수 94
- 영문명
- 발행기관
- 근대서지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근대서지』제25호, 385~42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문헌정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리창 극장
- <每新寫眞旬報>의 발간 사항과 새로 발굴된 이석훈의 일본어 소설
- 선우담(鮮于澹)의 해방 이후(1945-1962) 활동과 회화 연구
- 서울교향악단의 기관지 『필하아모니』 3호(1949년 12월호) 해제
- 마르크스의 미술사적 유산
- 모더니스트가 번역을 통하여 민족의 자리를 표시해 두는 방식
- 유성기 음반 소책자의 이모저모 2
- 『평화기념도쿄박람회사진첩』을 통해 본 1922년 일본의 단면
- 화보
- 『아이생활』의 <아가차지> 삽화에 대한 연구 1
- 정현웅 그림, 『그림한글책』(고려문화사, 1945. 12)의 가치와 의미
- 정혜 공주와 거닐다
- 식민지를 전시하다
- 김현송 『명랑소화집』(1948)의 특징과 소화사적(笑話史的) 의의
- 해방기 여성독본과 여성해방의 거리
- 사회주의 북한과 최명익 문학의 실증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서지 연구
- 뚝섬[纛島]의 짐마차
- 해방 이후 의학 분야 잡지(1)
- 1930년대 후반 조선시단의 부흥과 『시건설』의 문학사적 의의
-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인민창작(구전문학)』 (1960-1962)의 내용과 전개 양상
- 한국의 그림(Grimm)동화 수용
- 줄포茁浦의 기억과 복원
- 북한 국립중앙력사박물관 지상(紙上) 관람기
- 『조선의 풍광(朝鮮之風光)』(1922) 서지 연구
- 『滿鮮旅行案內』(1920)에 나타난 평양 기생학교 탐방기
- 1936년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의 민요」 강연 원고
- 코로나 유행 속에서 다낭을 만나다:비엣남 일기②
- 감정이입과 미적 교육의 이상
- 발간사
- 1920년대 소년운동 단체의 분열과 합동
- 북벽향림
- 두 번의 ‘발표’에도 ‘봉인’을 견디는 이상의 텍스트
- 경주 고적 안내 『新羅文化와 慶州古蹟』 해제
- 영창서관본 『삼봉이네 집』(1941)의 검열에 대한 재고찰
- 광주에 한글을 연구하는 단체가 있었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문헌정보학분야 BEST
- [一般論文] 해방기 잡지 『부인(婦人)』에 나타난 여성 계몽의식
- [卷末資料ㆍ影印] 영인 『申不出 넌센스 대머리 百萬風』(화봉문고 제공)
- [文學 書誌] 카프 비평가 출신 월북 작가의 해방과 전쟁 형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