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현송 『명랑소화집』(1948)의 특징과 소화사적(笑話史的) 의의
이용수 34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Kim Hyeon-song’s Myeongnang Funny story Book(1948)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unny story
- 발행기관
- 근대서지학회
- 저자명
- 김경희(Kim, Kyung-hee)
- 간행물 정보
- 『근대서지』제25호, 745~78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문헌정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김현송(金玄松: ?~?)이 1948년 발간한 『명랑소화집』의 서지사항을 정리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고, 한국소화사(韓國笑話史)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이 책의 서문이 없어, 김현송의 출판 의도를 알 수 없다.
『명랑소화집』은 총 220페이지로 66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명랑소화집』의 특징은 첫째, 66편의 서사 가운데 임금을 중심으로 관(官)과 관련된 이야기가 34편으로 5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야기의 대부분이시대구분을 하고 있으며 인명, 지명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그 결과, 실존인물의 이야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그 인물의 사실적 기록과 일화를 함께비교 분석할 수 있다. 셋째, 『명랑소화집』에서 일반 사람들처럼 불특정한 인물들의 평범한 서사를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불특정한 사람들을 구체적인 역사인물로 만들기 위해서 특정 공간과 인명을 부여하여 역사적 사실성을 추구하고 있다.
한국소화사에서 ‘명랑’이라는 호명은 대단히 혁신적이다. ‘유쾌하고 활발한’ 웃음을 주는 ‘명랑’으로 호명된 소화집이 드물기 때문이다. 김현송의 역사인물에 대한새로운 시도로 『명랑소화집』이 탄생되었다.
영문 초록
Kim Hyeon-song (1909-1988) wrote many plays and novels, and was active as a playwright. Published in 1948, Myeongnang Funny story Book is a work tha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due to his achieve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wo playbooks were published, and Yadam, a magazine specialized in storytelling, was acquired and operated.
The fact that he took charge of the monthly Yadam and operate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ince there is no preface to this book, it is unknown what intention Kim Hyun-song intended to publish and catalog this 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position and meaning of Myeongnang Funny story Book by illuminating it toget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thly Yadam and the existing Yadam collection.
The characteristic of Myeongnang Funny story Book is that, out of the 66 narratives, there are 34 stories related to the government, centered on the king, accounting for 50%. Second, most of the stories divide the times and clearly state the names of people and places. As a result, since the story of a real person occupies the majority,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ual record and anecdote of that person. Third, in Yadam, a legend section was created to distinguish it from yadam. In Myeongnang Funny story Book, ordinary narratives of unspecified people like ordinary people are introduced in a fun way. In addition, in this process, in order to make unspecified people into concrete historical figures, we are pursuing historical realism by assigning specific spaces and human names.
The name ‘Myeongrang’ in Korean Laugh History is very innovative.
This is because there are very few collections of digestions called ‘Cheerful’ that give ‘joyful and lively’ laughter. As Kim Hyeon-song was exposed to ‘Yadam’, he recorded the stories of historical figures in legends and folktales, and became deeply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magazines.
목차
1. 문제제기
2. 『명랑소화집』의 서지사항
3. 『명랑소화집』의 특징
4. 『명랑소화집』의 한국소화사적(韓國笑話史的) 의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리창 극장
- <每新寫眞旬報>의 발간 사항과 새로 발굴된 이석훈의 일본어 소설
- 선우담(鮮于澹)의 해방 이후(1945-1962) 활동과 회화 연구
- 서울교향악단의 기관지 『필하아모니』 3호(1949년 12월호) 해제
- 마르크스의 미술사적 유산
- 모더니스트가 번역을 통하여 민족의 자리를 표시해 두는 방식
- 유성기 음반 소책자의 이모저모 2
- 『평화기념도쿄박람회사진첩』을 통해 본 1922년 일본의 단면
- 화보
- 『아이생활』의 <아가차지> 삽화에 대한 연구 1
- 정현웅 그림, 『그림한글책』(고려문화사, 1945. 12)의 가치와 의미
- 정혜 공주와 거닐다
- 식민지를 전시하다
- 김현송 『명랑소화집』(1948)의 특징과 소화사적(笑話史的) 의의
- 해방기 여성독본과 여성해방의 거리
- 사회주의 북한과 최명익 문학의 실증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서지 연구
- 뚝섬[纛島]의 짐마차
- 해방 이후 의학 분야 잡지(1)
- 1930년대 후반 조선시단의 부흥과 『시건설』의 문학사적 의의
-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인민창작(구전문학)』 (1960-1962)의 내용과 전개 양상
- 한국의 그림(Grimm)동화 수용
- 줄포茁浦의 기억과 복원
- 북한 국립중앙력사박물관 지상(紙上) 관람기
- 『조선의 풍광(朝鮮之風光)』(1922) 서지 연구
- 『滿鮮旅行案內』(1920)에 나타난 평양 기생학교 탐방기
- 1936년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의 민요」 강연 원고
- 코로나 유행 속에서 다낭을 만나다:비엣남 일기②
- 감정이입과 미적 교육의 이상
- 발간사
- 1920년대 소년운동 단체의 분열과 합동
- 북벽향림
- 두 번의 ‘발표’에도 ‘봉인’을 견디는 이상의 텍스트
- 경주 고적 안내 『新羅文化와 慶州古蹟』 해제
- 영창서관본 『삼봉이네 집』(1941)의 검열에 대한 재고찰
- 광주에 한글을 연구하는 단체가 있었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문헌정보학분야 BEST
- [一般論文] 해방기 잡지 『부인(婦人)』에 나타난 여성 계몽의식
- [卷末資料ㆍ影印] 영인 『申不出 넌센스 대머리 百萬風』(화봉문고 제공)
- [文學 書誌] 카프 비평가 출신 월북 작가의 해방과 전쟁 형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