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인민창작(구전문학)』 (1960-1962)의 내용과 전개 양상
이용수 45
- 영문명
- Contents and Development of People’s Creative (1960-1962) based on New Materials
- 발행기관
- 근대서지학회
- 저자명
- 김광식(Kim, Kwang-sik)
- 간행물 정보
- 『근대서지』제25호, 785~8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문헌정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북한을 대표하는 아카데미즘 연구 조사 기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가 간행한 『인민창작』(1960-1962)의 전체상을해명하였다. 국내에 소개된 『인민창작』(1960-1961) 전6권과 함께, 필자가 새롭게발굴한 1962년판 3권을 추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인민창작』 전9권의 내용을처음으로 밝혔다. 과학원은 구전문학(구비문학) 자료를 크게 봉건 시대의 ‘전통적구전문학’과 근대 이후의 ‘현대 인민창작’으로 구분하였다. 전자는 우리에게 친숙한 구비문학인데 비해, 후자는 매우 낯설다. 그러나 구전문학연구가 근대 이후에본격적으로 출발한 새로운 근대 학문임을 고려할 때, 근현대 인민창작의 전개양상을 살피는 작업은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북한에서의 실천 내용을 구체적으로검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문에서는 ‘현대 인민창작’ 중 ‘혁명적 설화’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과학원은「인민 창작 수집 요강」에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 과정에서의 전투 실화 및김일성 원수를 비롯한 혁명가들의 고귀한 인민적 품성을 주제로 한 이야기들”을 전면에 제시함으로써, 김일성을 비롯한 혁명가들의 이야기를 수집하려는 명확한의도를 가지고 자료를 공모, 선별, 편집, 간행하였음을 명확히 하였다.
본고에서 명확히 한 바와 같이, 과학원의 의도와 달리 김일성을 비롯한 혁명가들의이야기는 적게 보고되었고, 과학원은 거듭해서 관련 자료의 보고를 요청하였다.
또한 이를 주도한 한룡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고정옥을 중심으로분석되었지만, 한룡옥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 역할을 명확히하였다. 한룡옥과 고정옥은 ‘현대 인민창작’ 특히 ‘혁명적 설화’의 채록과 연구의중요성을 거듭해서 강조했지만, 실제로 그들이 발간한 단행본은 모두 전통적 설화연구서에 한정되었다. 1960년대까지 북한의 구비문학 연구자는 ‘혁명적 설화’의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전통적 설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북한에서 김일성 유일사상이 강화되고 좌경적으로 교조화 되어, 1967년 5.25교시의 후속조치로 1968년 3월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도서정리사업’이 단행되었고, 전통적 설화도 ‘낡은 사상’으로 낙인 찍혀 배제되었다. 1970년대 구전문학의공백기를 거쳐서 1980년대 이후 구전문학연구는 전통편과 항일전설(혁명설화)편으로 양분되었다. 이러한 변화 이전에 『인민창작』이 자리하고 있음을 명확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entire image of People’s Creation (1960-1962)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Academ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 academy research institute representing North Korea, was explained. Along with all six volumes of People’s Creation (1960-1961), which were introduced in Korea, the contents of all nine volumes of People’s Creation were revealed for the first time by additionally reviewing the three newly discovered 1962 editions.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argely divided the data of old specialties (old literature) into ‘traditional old specialties’ in the feudal era and ‘modern people’s creation’ in the modern era. The former is familiar to us, whereas the latter is very unfamiliar. However, considering that old professional studies are a new modern study that started in earnest after modern tim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people’s cre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actice in North Korea in detail.
Accordingly, the text focuses on ‘revolutionary narrative’ among ‘modern people’s creation’. The institute made it clear that the materials were publicized, selected, edited, and published with a clear intention to collect the stories of Kim Il-sung and other revolutionaries by presenting “the true story of the battle during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30s.” As clarified in this paper,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institute, the stories of revolutionaries, including Kim Il-sung, were reported less, and the institute repeatedly requested reports of related data. We also looked at Hanryongok, who led this. In previous studies, it was analyzed centering on Gojeongok, but the necessity of reviewing Hanryongok was suggested and its role was clarified. Han Ryong-ok and Ko Jung-ok repeated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modern people’s creation,” especially “revolutionary tales,” but in fact, all of their books were limited to traditional folk tales. Until the 1960s, researchers in North Korea’s Gubi literatur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revolutionary narrative’ but developed discussions focusing on traditional narratives.
In North Korea, Kim Il-sung’s unique ideology was strengthened and cultivated left-leaning, and as a follow-up to the May 25 period in 1967, the “Book Organiz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from March 1968 to the mid-1970s, and the traditional narrative was also branded as an “old idea.” After the hiatus of old professional studies in the 1970s, research on old professional studies has been divided into traditional and anti-Japanese legends (revolutionary tales) since the 1980s. It was clarified that “People’s Creation” was located before these changes.
목차
1. 머리말
2. 과학원 기관지 『인민창작』의 발간
3. 현대 인민창작의 실제
4. 현대 인민창작 이야기의 내용 분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리창 극장
- <每新寫眞旬報>의 발간 사항과 새로 발굴된 이석훈의 일본어 소설
- 선우담(鮮于澹)의 해방 이후(1945-1962) 활동과 회화 연구
- 서울교향악단의 기관지 『필하아모니』 3호(1949년 12월호) 해제
- 마르크스의 미술사적 유산
- 모더니스트가 번역을 통하여 민족의 자리를 표시해 두는 방식
- 유성기 음반 소책자의 이모저모 2
- 『평화기념도쿄박람회사진첩』을 통해 본 1922년 일본의 단면
- 화보
- 『아이생활』의 <아가차지> 삽화에 대한 연구 1
- 정현웅 그림, 『그림한글책』(고려문화사, 1945. 12)의 가치와 의미
- 정혜 공주와 거닐다
- 식민지를 전시하다
- 김현송 『명랑소화집』(1948)의 특징과 소화사적(笑話史的) 의의
- 해방기 여성독본과 여성해방의 거리
- 사회주의 북한과 최명익 문학의 실증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서지 연구
- 뚝섬[纛島]의 짐마차
- 해방 이후 의학 분야 잡지(1)
- 1930년대 후반 조선시단의 부흥과 『시건설』의 문학사적 의의
-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인민창작(구전문학)』 (1960-1962)의 내용과 전개 양상
- 한국의 그림(Grimm)동화 수용
- 줄포茁浦의 기억과 복원
- 북한 국립중앙력사박물관 지상(紙上) 관람기
- 『조선의 풍광(朝鮮之風光)』(1922) 서지 연구
- 『滿鮮旅行案內』(1920)에 나타난 평양 기생학교 탐방기
- 1936년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의 민요」 강연 원고
- 코로나 유행 속에서 다낭을 만나다:비엣남 일기②
- 감정이입과 미적 교육의 이상
- 발간사
- 1920년대 소년운동 단체의 분열과 합동
- 북벽향림
- 두 번의 ‘발표’에도 ‘봉인’을 견디는 이상의 텍스트
- 경주 고적 안내 『新羅文化와 慶州古蹟』 해제
- 영창서관본 『삼봉이네 집』(1941)의 검열에 대한 재고찰
- 광주에 한글을 연구하는 단체가 있었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문헌정보학분야 BEST
- [一般論文] 해방기 잡지 『부인(婦人)』에 나타난 여성 계몽의식
- [卷末資料ㆍ影印] 영인 『申不出 넌센스 대머리 百萬風』(화봉문고 제공)
- [文學 書誌] 카프 비평가 출신 월북 작가의 해방과 전쟁 형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