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진왜란기 영광지역의 대응과 참상

이용수 68

영문명
The Preparation against the War and the Horrendous Situation in Yeonggwang Area during the Imjin War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신윤호(Shin, Yun-ho)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6호, 215~24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진왜란 시기 영광지역의 상황은 1592~3년과 1597~8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 영광은 전라도 지역이 보전됨으로써 스스로 방어대책을 마련하고 타지로 지원할 수 있었지만, 후기에는 일본군의 전라도 점령으로 참혹한 지경에 처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 영광은 제승방략에 의해 전라우수군으로 편제되었다. 따라서 임진왜란 초기 해전에 참전해야 했지만 전라감사 이광의 징집령에 의해 전라우도 고을수령들이 모두 근왕군으로 편성되면서 육상전에 임하게 되었다. 이때 영광의 관군도 주로 육상에서 활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초기 호남에서 의병이 궐기함에 따라 영광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병력과 군량을 지원하는 등 근왕 및 부원활동에 적극적이었다. 김천일과 고경명이 일으킨 의병에 참전하였으며, 영광군수가 없을 때 스스로 읍성방위 체계를 세울만큼 조직력이 뛰어났다. 즉, 수성동맹을 조직하여 24부 55인, 행정부와 전투부로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였던 것이다. 심우신 의병장은 독자적으로 활동하며 영남까지 달려갔는데, 2차 진주성전투에서 충청병사 황진과 함께 동문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때 영광의병 12명이 함께 순절하였다. 정유재란 시기에는 일본군의 전라도공략을 목표로 총공세가 펼쳐지면서 전라도 전역이 철저히 유린되었다. 榜文의 내용과 같이 강압적 방침으로 인해 조선 백성들이 서로 고발·수색·살해하도록 함으로써 분열을 조장하였다. 여러 곳에서 부역행위가 발생함으로써 의병활동에 큰 걸림돌이 되었고, 강진·해남·영암 등지의 의병은 혈전 끝에 거의 전멸하고 말았다. 영광지역은 해안이었기 때문에 수륙 양면으로 침략한 일본군에 의해 큰 피해를 당하였다. 육로로 침략한 깃카와 히로이에의 군사에 의해 1만여 명에 달하는 백성이 코베임을 당하였고, 해로로 침략한 도도 타카도라에 의해 바다로의 피난길이 막혀 포로로 끌려가거나 살해당하였다. 강항 일가 역시 도도타카도라 군사에게 피랍되었는데, 정희득 일가와 같이 일본으로 피랍되어가는 과정은 정유재란 시기 호남지역의 참상을 보여주는 일례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situation of the Yeonggwang area during the Imjin war can be divided into two time periods: 1592~3 and 1597~8. In the early days, Yeonggwang was able to establish defense measures and provide supports to other places as the Jeolla-do area was preserved, but in the latter days, it faced the horrendous situation as Japanese military occupied Jeolla-do. After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Yeonggwang was organized into Jeonlausugun by the Heseungbanryak. As a result, all the heads of Jeollau-do and villages had to participate in the land warfare as they were organized into the royal army by the conscription order of Jeolla governor Lee Gwang, whereas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naval warfare in the early days during the Imjin war. It seems that the royal forces of Yeonggwang was mainly active on land. In the early days of the Imjin war, the loyal army of Honam rose and in response to this, Yeonggwang supported troops and rations for loyalty to the king and sources of resources. They participated in the loyal army raised by Kim Cheon-il and Go Gyeong-myeong and when there was no Yeongwang-gun governor, they show organization ability which was excellent enough to establish a self-defense system for the eupseong fortress. In other words, they organized allies to defend the fortress and operated efficiently by dividing them into 24 divisions and 55 members, the administration division and the battle division. Shim Woo-shin, the head of the loyal army worked independently and ran to Yeongnam, where he died while fighting at the east gate with Chungcheong loyal soldier Hwang Jin in the 2nd battle of Jinjuseong Fortress. At this time, the 12 loyal soldiers died for their country together. During the Jeongyojaeran, Japanese troops launched full-scale offensive with the aim of attacking Jeolla Province, and all of Jeolla-do area was thoroughly devastated. As seen in the content of the bangmun, they promoted the division by compelling the Chosun people to accuse, search, and murder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of treacherous activities in various places, which became a major obstacle to the activities of the loyal army, and the loyal army in Gangjin, Haenam, and Yeongam were almost killed in bloody battle. Since the Yeonggwang area was a coastal area, it was greatly damaged by the Japanese troops invading both on land and water. The noses of 10,000 people were cut off by the soldiers of Kikka and Hiroie that invaded by land, and soldiers were taken prisoner or killed as the evacuation route to the sea was blocked by Todo Takadora, that invaded by sea. Kang Hang family was also kidnapped by the army of Todo Takadora, and taken to Japan, which is an example of the horrendous situation of the Honam region during the Jeongyujaeran.

목차

Ⅰ. 머리말
Ⅱ. 임진왜란 초기 영광의 의병활동 양상
Ⅲ. 정유재란과 영광지역의 참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윤호(Shin, Yun-ho). (2022).임진왜란기 영광지역의 대응과 참상. 이순신연구논총, (), 215-248

MLA

신윤호(Shin, Yun-ho). "임진왜란기 영광지역의 대응과 참상." 이순신연구논총, (2022): 215-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