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북지역 조선시대 제철로의 구조와 제철유적 조성 배경

이용수 65

영문명
Structure of iron furna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Jeollabuk-do and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iron-producing site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38호, 63~9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북지역에 분포한 250여개소의 제철유적 중 조선시대의 것은 9개소이다. 이 시기의 제철유적에서는 발굴조사를 통해 제련로·단야로·폐기장 등 다양한 유구가 조사되었다. 그 중 제련로는 고고학 자료와 문헌기록을 모두 참고할 때, 1. 평면형태가 말각장방형에 가깝고, 2. 지형이 낮은 한쪽 장벽(前장벽)에 1개의 배재구가 존재하며, 3. 그 반대편 장벽(後장벽)에 19개 내외의 소구경 송풍구가 뚫린 구조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제련로는 소위 상형로의 일종으로, 일본의 것과 평면형태 및 소구경 송풍구의 존재 등에서 유사성을 찾을 수 있으나, 세부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충주·아산을 포함하여 한반도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데, 전북지역의 경우 조선시대 제련로가 모두 상형로에 해당하여 지역성을 띤다. 생산된 철은 괴련철이며, 원료로는 사철뿐만 아니라 철광석(철티탄 철광석)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단야로는 완제품을 생산하는 성형보다 철소재의 품위를 높이고 조직을 단련시키는 정련·단련단야의 공정을 담당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남원 옥계동 단야로는 내부에 다수의 철재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정련단야로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전북지역에서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250여개소의 제철유적 중 일부는 철물수취체제 및 사회적 변화에 따라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 전기에는 철소 및 철장의 운영과 관련이 깊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철장의 경우 태종 7년(1407년)부터 시행된 철장도회제(鐵場都會制)와 관련이 있다. 성종 18년(1487년) 무렵에는 철장도회제가 폐지되고 각읍체납제(各邑採納制)가 시행됨에 따라 전북지역 내 철광석 매장지를 중심으로 생산이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에는 광산 개발과 장시가 활성화됨에 따라 사적(私的) 생산이 증대되었으며, 이를 통제하기 위해 조정에서 높은 세금을 부과하자 잠채(潛採)가 성행하였다.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조선시대 제철유적은 운영시기가 후기에 집중되어 있어 사적 생산과 관련이 깊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대체로 깊은 계곡 내에 입지하고 있어 잠채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Of the 250 iron-producing sites distributed in the jeollabuk-do, 9 were from the Joseon Dynasty. Various remains such as smelting furnace, forging furnace, and waste place were investigated through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in the seasonal relics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m, the smelting furnace is estimated to have a similar planar shape to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and secondly, there is one discharge port on one long wall with a low terrain and about 19 small wind holes on one side of the long wall. In general, there are wind holes in the long wall opposite the discharge hole for the efficiency of the work. These melting furnaces are a type of so-called “box type furnace” and have similarities such as the planar shape and the presence of small-diameter wind holes from those of Japan, but their structures are generally different. This is intensiv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Chungju and Asan,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eollabuk-do, all the smelting roads of the Joseon Dynasty surveyed so far are box type furnaces, so they are local. The produced iron is Bloomery iron,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not only sand iron but also iron ore (titanium iron ore) was used as the raw material. It is believed that forging furnace wa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refining and training-forging, which improved the quality of iron and made the tissue more dense than molding that produced the finished product. In particular, it is highly likely that it is Refining-forging, as there is a large amount of slag inside Okgye-dong Danya-ro, Namwon.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literature records related to iron production, some of the 250 iron production sites distributed in Jeollabuk-do are believed to have been crea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iron tax receiving system and social chang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thought to be deep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cheolso and cheoljang(steel mills), and in the case of cheoljang, it is deeply related to the Cheoljangdohoe System, which took effect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ng(1407). In the 18th year of King Seongjong (1487), as the Cheoljangdohoe System was abolished and Gakeupchenap system(each town arrears system) was implemented, production seems to have continued around iron reserves in jeollabuk-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mining development and market revitalized, private production increased, and it is estimated that "hiding and producing” was prevalent when high taxes were imposed by the government to control this. The excavated iron production sites are believed to be deeply related to private production as their operation period is concentr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most of them were built in deep valleys, it is estimated that they were created by “hiding and producing”.

목차

Ⅰ. 머리말
Ⅱ. 제철유적의 현황과 자연환경
Ⅲ. 제철로의 구조와 생산물
Ⅳ. 제련로의 지역성과 제철유적의 조성 배경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전북지역 조선시대 제철로의 구조와 제철유적 조성 배경. 중앙고고연구, (), 63-98

MLA

. "전북지역 조선시대 제철로의 구조와 제철유적 조성 배경." 중앙고고연구, (2022): 6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