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상·누상의 재검토

이용수 41

영문명
A Review of the Gangshang and Loushang : Korean Bronze Age Burial Aspects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Differentiation Studies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38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년대 조·중 공동발굴대가 조사한 강상·누상 적석묘의 구조, 매장방법, 부장유물 등에서 관찰된 매장양상은 당시 북한학계에서 노예주의 ‘순장묘’로 해석되어 고조선 사회의 성격을 ‘노예소유제국가’로 단정하는 사회구성체 논쟁의 단초가 된다. 남한학계에서는 초기 이러한 북한의 인식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점을 지적하고 동시성·강제성·종속성 맥락에서 순장임을 부정하였다. 그러나 이후 강상·누상 적석묘의 피장자들 간에 관계와 사회적 지위에 대해 ‘세대공동체’나 ‘혈연관계’라는 해석이 다시 논증의 절차 없이 수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강상·누상 적석묘의 사회분화 연구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비록 노예가 한 번에 순장당한 것은 아닐지라도, 혈연관계나 세대공동체의 공동묘지로 추정하기에는 죽음의 상황과 매장양상이 불일치함을 설명한다. 그러므로 여러 가능성을 살펴보아야 하며 현재 청동기시대 사회분화 연구에서 발생하는 모순적 상황에 대한 지적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Looking back on Gangshang (崗上) and Loushang (樓上), it was recognized that the social difference character that had been developed had been accepted without any major opposition or new repercussions. However, since this is an issue in studies of all tombs, including stone mound tombs, it is decided that there should be an opportunity for improvement. In the process, social differentiation studies state that the conformity of burial aspects to ‘the contexts of a death’ could be a problem. Thus, this study introduced and analyzed the burial styles of stone mound tombs in the Lianan area. In addition, this research clarified the issue of the sacrificial burial, which was raised in a debate over social formation in the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as well as the refutation of the theory of the sacrificial burial in the South Korean academic community and views on the status of the buried people. Next, this study highlighted that it would be required to investigate numerous options, to highlight the current studies of Korean bronze age social differentiation's conflicting condition, and to seek answers. Rather than assuming the tombs as the cemetery for communities of kinship or generation, a new concept of stone mound tombs in Gangshang and Loushang was developed due to the incompatibility between the circumstances of death and the burial aspects. Gangshang and Loushang were brought up and reexamined because there are comprehensive morphological variations-the scale, structure, and refinement of the tomb, labor force investment, and buried relics-funeral practices, and information form the human remains . Hopefully, better alternatives can be presented through a lot of discussions, going back to the situations of burials.

목차

Ⅰ. 머리말
Ⅱ. 요남지역 적석묘의 매장양상
Ⅲ. 강상·누상의 매장양상과 사회분화 연구
Ⅳ. 매장양상과 사회분화 연구에서의 함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강상·누상의 재검토. 중앙고고연구, (), 1-26

MLA

. "강상·누상의 재검토." 중앙고고연구, (2022):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