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혼부의 직업 생활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이용수 427

영문명
A Study of the Grounded Theory on the Working Life Experience of Unmarried Father: Approach to Glaser’s Grounded Theory and Clarke’s Situational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8권 제2호, 371~40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혼부들의 직업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들은 Glaser의 근거이론 연구방법과 Clarke의 상황분석으로 접근했다. 연구에 참여한 비혼부 14명의 직업 생활 경험에 대한 내용, 맥락, 구조와 함께 영향을 주는 사회적 담론을 분석하고 상황적 지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 접근으로 분석한 핵심범주는 ‘꿈이 유보된 생존 노동 속에서의 보람과 희망’이다. 핵심범주는 조건인 ‘일하는 기계로의 전환’, 우연적 사건인 ‘번아웃 노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은 원인과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적자본 투하의 결여’, ‘여가향유의 실종’이며 원인인 ‘자기 발전의 지체’가 ‘내용 없는 노동’이라는 결과로 이어지는 구조를 제시했다. 둘째, Clarke의 상황분석 결과로 비혼부들의 직업생활 경험을 드러낸 거친 버전, 정리된 버전의 상황지도와 비혼부들의 관계지도, 직장/지역사회를 나타낸 사회/세계 영역지도를 그렸다. 마지막으로 위치 지도를 통해 비혼부들의 상호작용 수준과 담론을 분석했다. 이와 같은 경험은 비혼부들의 사회적 낙인을 극복하며 자녀와 함께 자기의 삶을 구축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책임 있는 주체의 탄생과 비혼부자들의 삶을 지지할 수 있는 사회복지차원의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working life experiences of unmarried fathers. The researchers adopted Glaser’s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and Clarke’s situational analysis for the study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ocial discourses that affects the contents, context, and structure of 14 unmarried fathers’ working life experiences and to examine their situational knowledg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ategory analyzed based on Glaser’s approach of the grounded theory is “The reward and hope in the labor for survival with the dream postponed. “ It was found that the core category was affected by the conditions of “Becoming a working machine “ and accidental “Burnout labor”. Here, ‘Lack o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No leisure time’ are the context that influences the cause and outcome, and this study suggests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use-“Delay in self-development”-leads to the outcome of “Labor without content” in the context. Second, based on the result of Clarke’s situational analysis, the study drew a rough version and an organized version a situational map, showing the work and life experiences of unmarried fathers, a relationship map of the unmarried fathers, and a social/world arena map representing work/regional community. Lastly, through a positional map, the level of interaction and discourse of unmarried fath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provided suggestions at the social welfare level to support the creation of responsible subjects and the lives of unmarried fa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비혼부의 직업 생활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질적탐구, 8 (2), 371-401

MLA

. "비혼부의 직업 생활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질적탐구, 8.2(2022): 371-4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