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느 특수교사의 시설 순회파견학급 적응기

이용수 126

영문명
An Itinerant Teacher’s Experience in Adapting at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8권 제2호, 213~259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시설 순회파견학급 담임교사인 나의 경험과 나를 둘러싼 문화와의 상호작용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나 스스로 성찰하고 사회문화적 의미를 찾아 특수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나는 4년 3개월 동안의 기억자료, 자기성찰 자료, 문화적 인공물, 자기관찰 자료, 통화기록 및 각종 순회교육 관련 협의회 녹음 자료 전사본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순회교사가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개인의 능력 문제만이 아니었다. 둘째, 학생으로 인해 겪는 좌절과 혼란의 해답은 결국 학생에게서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시설과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라포 형성이었다. 넷째, 순회교사는 소속 학교에서의 수용적 분위기와 관심으로 교사 효능감을 긍정적으로 느끼게 되었다. 다섯째, 순회교사가 순회교육 현장에서 받을 수 있는 이 모든 어려움과 혼란은 순회교사 개인의 노력이 아닌 순회교사들의 학습공동체를 포함한 상위기관과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극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간 조명받지 못했던 순회교육을 이해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아울러, 나와 같이 순회교육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순회교사들에게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imed to reflect on myself and to find socio-cultural meaning by sharing my experiences as an itinerant teacher and my interactions with the surrounding culture, using self-cultural descriptive papers, and to giv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collected memory data, self-reflection data, cultural artifacts, self-observation data, call records, and transcripts of various conferences related to itinerant education for 4 years and 3 month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pragmatic eclecticis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first, it was not only an individual ability problem that caused itinerant teachers to have difficult in class. Second, the answer to the frustration and confusion caused by the students was eventually found in the students. Thir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relation to facilities was how to build a rapport. Fourth, it was the receptive atmosphere and interest in the school that help itinerant teachers feel positive about teacher efficacy. Fifth, all the difficulties and confusion that itinerant teachers may have in the field of itinerant education could be overcome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higher-level institutions including the learning community of itinerant teachers, not through individual efforts of the itinerant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to better understand the itinerant education, which has not been getting much attention in the past. In addition, it will be of comfort to itinerant teachers who, including myself, are struggling with itineran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어느 특수교사의 시설 순회파견학급 적응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어느 특수교사의 시설 순회파견학급 적응기. 질적탐구, 8 (2), 213-259

MLA

. "어느 특수교사의 시설 순회파견학급 적응기." 질적탐구, 8.2(2022): 213-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