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남 무형문화재의 현황과 바람직한 방향

이용수 148

영문명
Current Situation and Positive Dir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9호, 211~24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남 무형문화재 현행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경남의 무형문화재정책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무형문화재 정책은 2016년 「무형문화재법」이 시행되면서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경남은 아직도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과거 「문화재보호법」에 안주하고 있다. 이런 현황에서 연구자는 국가무형문화재 정책을 수행하는 국립유산원의 업무를 바탕으로 경남무형문화재 정책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2000년부터 경남의 무형문화재 현장을 조사하였는데, 무형문화재 현장과 정책을 시행하는 행정기관과의 시각 차이로 끈임없이 부딪치고 있다. 이는 서로에 대한 불신이 존재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현재 국가는 무형문화재를 운영하는데 있어, 크게 전승지원, 조사연구기록, 전시·공연·교육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전승지원에서는 이수자심사, 1년 1회 공개행사, 전승공예품 은행운영, 전통공예 활성화지원 등 기예능을 전수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조사연구기록에서는 무형문화재 조사·기록·학술연구 등을 하며, 전시·공연·교육은 무형문화재 기예능을 전수·보급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국가는 무형문화재를 전수·보급·기록함으로써 무형문화재의 기본원리를 지키면서도 반면, 국민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 전환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경남의 무형문화재는 원형 보존의 틀 속에서 안주하면서 지역민과의 공유점은 관가하고 있다. 그렇다고 무형문화재의 원형이 제대로 전승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의문이 든다. 현재 경남은 2012년 9월 9일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의 입법예고를 통해 「무형문화재법」에 의한 무형문화재 행정시스템의 기틀을 마련하려고 한다. 사실 그동안 경남의 무형문화재 정책은 「문화재보호법」에 준하는 정책을 실행하였다. 그래서 경남의 무형문화재 정책은 문화재청이나 국립무형유산원과 같은 운영·관리·지원·전승시스템 선상에서 실행하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국가와 경남의 무형문화재가 바람직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로서 국가와 경남의 무형문화재의 현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는데, 특히 무형문화재 정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인 국립무형유산원의 업무를 중심으로 경남무형문화재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s the current polic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sangnam-do and suggest a positive intangible cultural policy in Gyeongnam with the background.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y faced a major chang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ct in 2016. However, Gyeongnam cannot keep up with the changing trend of the times, but is settled fo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the past.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mentions the Gyeongnam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y based on the work of the National Heritage Center, which implements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the sit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nam since 2000, and they have been constantly colliding due to differences in perspective between the sit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the administrative agency that carries out policies. This is because there is distrust in each other. Currently, the state operate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largely divided into transmission support, research, research records,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education. The transmission support focuses on transferring skills such as screening for graduates, opening events once a year, bank operation of transmission crafts, and support for revitalizing traditional crafts. On the other hand, in the research record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recorded, and academic research are conducted. Also, the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education focus on transferring and distribu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principle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transferring, distributing, and record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state is focusing on converting them into 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enjoyed by all people. Howeve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sangnam-do are complacent in the framework of original preservation, but sharing with local residents are overlooked. It is also questionable whether the original for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properly descended. Currently, Gyeongnam is trying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under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through a legislative notice of the Gyeongsangnamdo Ordinance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n September 9, 2012. In fact, the polic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nam has been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Therefore, Gyeongnam'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y was not implemented in line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support, and transfer system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 paper discusses the positive direction of Gyeongnam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y, focusing on the work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nstitute, an institution that systematically implement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y.

목차

1. 머리말
2. 경남무형문와재 지정 현황 검토
3. 국가무형문화재와 경남의 무형문화재 정책 검토
4. 경남 무형문화재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경남 무형문화재의 현황과 바람직한 방향. 지식과 교양, (), 211-240

MLA

. "경남 무형문화재의 현황과 바람직한 방향." 지식과 교양, (2022): 211-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