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 청화백자의 문양연구

이용수 7

영문명
A Study on Pattern of Modern Blue and White Ware
발행기관
한국도자학회
저자명
조성남(Cho, Sung Nam)
간행물 정보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3, 217~2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자는 조선을 대표하는 그릇이며 청화기법은 백자의 주요 장식기법으로 활용되었다. 청화기법은 국내의 백자장식기법의 출발로서 도입초기 중국적인 풍모가 강했으나, 점점 조선사대부의 정신세계를 표현하거나 부귀와 복을 염원하는 서민들의 삶에 대한 이상을 담는 그릇으로 변모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청화에 대한 인식은 철화분청이나 달항아리와 같은 소문백자 등이 조상들의 정신과 독창성을 담고 있다는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다소 평가 절하되어 인식되는 측면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청화백자는 왕실에서 적극적인 재료의 수급을 통해 제작하고자 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조선 말기에는 서민들의 생활 속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정도로 기형이 다양하였고, 문양에는 정신세계를 담아 조선을 대표하는 그릇으로 자리매김하였음을 여러 문헌과 유물자료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청화기법은 전통도자 표면장식 기법의 하나로서 현대의 수작업으로 제작되는 여러 도자기의 장식기법에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청화가 주는 이미지는 회화나 디자인분야 등에서 전통이미지 또는 현대적인 추상이미지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현대도예가의 수공예 작품에 전개되는 청화는 채색이나 문양으로 나타나거나 점토에 혼합되어 도자의 태토 색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문양은 전통문양, 회화적인 문양이 디자인개념으로 적용되기도 하며, 표현방법은 선이나 농담을 이용한 표현에서부터 면과 질감을 강조하기 위한 채색 등이 활용되고 있다. 즉, 청화기법은 타 도자장르인 청자와 분청자의 장식기법이나 색상에서 느낄 수 없는 강한 색상대비와 섬세한 표현, 입체감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대도자의 다양한 영역에서 조형기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생활자기의 장식기법으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문양의 소재나 활용방법에 관계없이 단색조의 문양이 주는 추상성과 전통적인 분위기를 자아냄에 따라 수공예로 제작된 백자에 다양하게 응용되거나 지속적인 시도가 이어지는 동기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현대 청화백자의 사례들은 청화의 기법을 토대로 도자의 문양을 전개한 것으로 여러 분야의 기법과 개념의 도입으로 전통청화와는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같은 맥락에서 해석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청화백자가 조선인의 생각과 생활을 담은 그릇이라면 현대의 청화는 요즘 사람들의 삶과 의식을 담은 그릇이라는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 오늘날 도자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취향은 주목해야 할 중요한 요소로서 중시되고 있으며, 최근의 흐름은 감성디자인이 중시된다는 면에서 현대인이 감성적으로 동화될 수 있는 청화문양에 대한 시도가 이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White porcelain is a dish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and blue and white technique is used as the major decoration technique of white porcelain. Blue and white technique was in the center of a start of domestic white porcelain culture, and ceased in the replacement time of Ming and Qing, but was preferred as a dish entertaining an ideal of common life longing for wealth and luck including blue and white porcelain expressing inner space of nobleme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an assessment that somun white porcelain such as underglaze iron painting punchong ware and moon jar connotes spirit and creativity of ancestors, there is a side that blue and white ware is slightly devaluated in this country. However, blue and white porcelain is a dish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records that the royal family was to produce blue and white porcelain through active supply and demand of materials. In addition, through various literatures and relic materials, it can be guessed that there were various pottery types used for all sorts of things in common life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pattern connoted their inner space so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a dish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This blue and white technique is one of traditional ceramics, and not only is blue and white technique used as decoration technique of modern various ceramics that are manually produced but also blue and white image attracts attention as traditional or modern abstract images in painting or design fields. In addition, blue and white technique in handicrafts of modern potters is showed by coloring or pattern or is mixed with clay so changes clay color of ceramics basically. Furthermore, traditional and pictorial patterns, and design concept are applied to pattern, and expression uses expression using line or light and shade, and coloring to emphasize plane and texture. That is, blue and white technique can do strong color contrast, delicate representation and solid representation that are not felt in decoration technique or color of celadon and buncheong ware that are other pottery genres, so is used as moulding technique in various fields of modern ceramics, and has advantages as decoration technique of living ceramics. In addition, this technique makes traditional atmosphere and abstractness of unicolor pattern without reference to material or application method of pattern, so is variously used or continuously tried in white porcelain that is manually produced. Cases of various modern blue and white porcelains this study suggests have pottery pattern based on blue and white technique, and create the atmosphe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atmosphere of traditional blue and white ware by introducing techniques and concepts of various fields, but it is judged that it is basically analyzed in the same contex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cause traditional blue and white ware is a dish including thought and life of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blue and white ware is a dish including life of modern people. Today, user’s taste of important factors attracting attention in pottery design is regarded as most important, and recent flows lay stress on affective design, so an attempt of blue and white pattern that contemporary men can emotionally adapt should follow.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청화백자에 대한 일반적 고찰
Ⅲ. 국내 청화백자에 대한 문헌적 고찰
Ⅲ. 현대의 청화문양 사례 연구
Ⅳ. 결론
그림 목록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남(Cho, Sung Nam). (2016).현대 청화백자의 문양연구. 한국도자학연구, 13 (3), 217-238

MLA

조성남(Cho, Sung Nam). "현대 청화백자의 문양연구." 한국도자학연구, 13.3(2016): 217-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