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성궁(平城宮) 조당(朝堂)을 통해 본 고대 일본의 천황

이용수 21

영문명
The Japanese ancient Emperor through Cho-do of the Heijo-kyu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金銀貞(Kim Eunjung)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69집, 105~14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5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고의 목적은 평성궁에 설치된 조당의 검토를 통해 奈良시대에 천황 중심의 율령지배체제가 어떻게 건설 또는 재건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藤原宮의 경우 단일공간에 설치되었던 조당이 平城宮에서는 중앙구와 동구 즉, 주작문 북쪽에는 초석건물로 지은 4堂이, 그리고 임생문 북쪽에는 굴립주건물로 지은 12堂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중앙구와 동구의 구조는 745년 평성경으로 환도한 이후 변화되었다. 중앙구에는 천평보자 연간(757~764)에 칭덕천황(稱德天皇)의 거소인 西宮이 조영되었고, 동구는 천평승보 연간(749~757)에 대안전은 대극전으로, 조당의 12당은 굴립주건물에서 초석건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평성궁의 중앙구와 동구는 平安宮의 豊樂院과 朝堂院으로 계승되었다. 따라서 중앙구는 의례·향연의 장으로, 동구는 朝賀·정무의 장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續日本紀』를 살펴보면 평성궁에 설치된 조당은 恭仁京으로 천도를 단행한 740년을 기점으로 그 사용형태가 확연히 구분되었다. 740년 이전에 조당을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한 천황은 성무천황(聖武天皇)이었다. 이때 조당에서는 踐祚大嘗祭, 정월의 세 節會, 외국 사신을 위한 향연, 불경의 독송이 이루어졌다. 한편 745년 평성경으로 환도한 이후에는 광인천황기(光仁天皇期)에 조당의 활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내용은 대체로 성무천황기와 유사했다. 성무천황기에 조당의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그의 조부인 藤原不比等의 구상과 성무천황의 국정운영 방향이 일치했기 때문이었다. 불비등은 성무천황을 통해 강력한 천황 중심의 율령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불비등의 구상은 적어도 740년 공인경으로 천도하기 전까지는 성무천황의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성무천황은 집권 전반기에는 율령지배체제를 강화하고 관인들의 위계질서를 세우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한편 광인천황기에 평성궁 조당이 적극적으로 사용된 것은 율령지배체제의 쇠퇴를 우려했던 광인천황의 통치이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칭덕천황 사후 우여곡절 끝에 藤原式家인 등원백천·등원양계 등의 추대로 천황의 자리에 앉게 된 광인천황은 자신만의 분명한 통치이념을 갖고 있었다. 그는 道鏡으로 인해 야기된 칭덕천황기의 실정을 바로잡고 관인들의 위계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방대해진 관료조직을 축소 또는 재편하여 불필요한 재정지출을 막고자 하였다. 이러한 광인천황기의 국정운영은 궁극적으로는 천황 중심의 율령지배체제가 와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던 것이다. 평성궁 조당은 고대 일본에서 율령통치의 중요한 요소인 정무·의식·의례·향연을 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식을 奈良시대의 모든 통치자가 공유한 것은 아니었다. 통치자가 지향했던 국정운영의 방식과 목표에 따라 조당의 활용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조당의 활용 여부는 율령지배체제의 완성도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영문 초록

Having two buildings for doing political decisions and annual rituals, named “Cho-do”, was one of characteristics of the Heijo-kyu comparing to previous palaces like the Fujiwara-kyu. In the Heijo-kyu, one Cho-do positioned in its central plot and another was in its east plot. After 745, the year the Emperor decided to return and settle there again, the original arrangement of each had changed. In the central plot, the Daigokuden which neighbored with the Cho-do had been reformed to living space of the Emperor Syotoku, named “Saigo” since 747 to 757. This new arrangement, losing neighboring Daigokuden, looks like that of Burakuin within the Heian palace, researchers thus have pointed out that the Cho-do had been used for annual rituals like the Burakuin after 745. In the east plot, the Daianden which neighbored with the Cho-do was renamed to Daigokuden between 749 to 757. Additionally, pillars which sustained the Cho-do were changed from soil based one to stone based one. This new arrangement, gathering with the Daigokuden, is resemble with that of the Cho-doin within the Heian-kyu. Hence, researchers have assumed that the Cho-do had been used in the same way with usage of the Cho-doin, for discussing and doing political decisions. According to sources, the Emperor Syomu used the Cho-do most frequently before 740. At that time, the Emperor’s first rite, 3 rituals of 1st month, feasts for foreign messengers, reading sutras had been done there. On the other hand, frequency is the most during term of the Emperor Konin after 745. Though way of usage was almost similar with that in term of Syomu, purpose was different.Fuhito Fujiwara aimed at prevailing the Rituryo system in Japan and established the Heijyo-kyo capital as the center appropriating to it. He planed to build new capital for indicating Japan as one independent nation toward other east Asian countries and ethnic groups by imitating advanced China’s rituals and feast. Fuhito’s grandson the Emperor Syomu had used two Cho-do in the Heijo-kyo along his grandfather’s plan. He had done rituals with his servants there for visualizing relationship among them at least by 740, the year he decided to transfer to new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Emperor Konin attempted to revive the Rituryo system that had declined. He had certain creed as a sovereignty and reformed financial system or organization of officials aggressively. As its part, he frequently used the Cho-do along principle of the Rituryo. The Cho-do in the Heijo-kyu was significant space for manipulating the governmental system. Through this paper, I demonstrate that frequency of usage of this space reflects content of goals each sovereignty had.

목차

Ⅰ. 머리말
Ⅱ. 平城宮 朝堂의 구조와 기능
Ⅲ. 平城京 천도와 聖武天皇
Ⅳ. 光仁天皇期의 사용형태와 그 배경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銀貞(Kim Eunjung). (2019).평성궁(平城宮) 조당(朝堂)을 통해 본 고대 일본의 천황. 백제연구, 69 (1), 105-143

MLA

金銀貞(Kim Eunjung). "평성궁(平城宮) 조당(朝堂)을 통해 본 고대 일본의 천황." 백제연구, 69.1(2019): 105-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