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百濟) 국가권력(國家權力)의 확산(擴散)과 지방(地方)

이용수 90

영문명
Spread of Government Power and Regions of Baekje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강종원(Jong Won Kang)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55집,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5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백제시대 각 시기별 영역의 변천과 그에 따른 지방제도의 변화모습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나아가 國家權力의 지방침투 양상을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성기는 고이왕대 및 근초고왕대에 영역확대의 전기가 되었으며, 근초고왕대 이미 남해안 일대까지 백제의 영역으로 편제됨으로써 地方化가 이루어졌다. 국가권력의 지방침투는 고이왕대 이전에는 재지수장층을 통해 間接的으로 이루어졌고, 고이왕대부터 제도적인 차원에서 지방에 대한 지배가 관철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근초고왕대 중앙집권적 지배체제의 정비와 영역의 확정에 의해 지방관의 파견을 통한 直接支配가 실현되기 시작하였다. 한성기 국가권력의 지방침투는 순행과 진휼, 그리고 역역의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성후기 고구려의 남진으로 인한 정치적 변동 속에서 지방지배의 한계가 나타남으로써 주요지역에 대한 威勢品의 賜與를 통해 지방에 대한 국가의 지배력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일부지역에서는 在地的 전통이 지속되고 있어 한성기 지방지배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웅진기에는 한강유역의 상실로 북방지역의 상당부분이 영역에서 배제됨으로써 지방의 재편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웅진기에는 남부지역에 대한 지배에 주력하였다. 동성왕대 정치적 혼란이 어느 정도 안정을 회복함에 따라 지방에 대한 강력한 지배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무령왕대에는 주민들에 대한 직접지배를 실현해 나갔다. 국가권력은 담로체제 하에 王·侯號를 부여받은 地方官과 중앙귀족화한 地方勢力을 통해 직접적으로 침투되었다. 그 결과 각 지역의 문화적 전통성은 약화되었다. 사비기에는 보다 체계화된 方郡城 체제로의 전환과 地方官에 의한 지방지배가 확립되었다. 방군성으로 편제된 지역은 백제가 신라에 병합된 이후 지방제도로 편제된 웅주·전주·무주 일원에 한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중앙에서 파견된 郡令(郡將)·城主에 의해 통제되었다. 그렇지만 재지세력 중 유력한 귀족세력은 중앙의 관등에 편제되어 지방관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briefly the changes of territory in each period of Baekje era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caused by the change of territory, and furthermore looks into the aspect of government power infiltrating into the regions with the help of bibliographic data. The Hansung era acted as a turning point for expanding territory in King Goyi period and King Geunchogo period, and the localization was already realized with the whole area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rganized into the Baekje territory in King Geunchogo period. The infiltration of government power into the regions was accomplished indirectly by the commanding class living in the land before the King Goyi period, and since the King Goyi period, the control of the regions started to be carried through on the basis of a system. Moreover, the direct domination through the dispatch of local officials began to be realized by virtue of organization of centralized ruling system and determination of territory in King Geunchogo period. The infiltration of government power into the regions during the Hansung era was found to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methods of doing in order, almsgiving, and collection of labor.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Baekje attempted to maintain the national control over the regions through presenting prestige goods to primary regions because the control over the regions showed limitations among the political change caused by the southward advance of Koguryeo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Hansung era. In addition, the domination over the regions during the Hansung era appeared to be limited as the tradition of ruling class living in the land persisted in some areas. In Woongjin era, the loss of Han River basin caused considerable portion of the northern region to be excluded from the territory, which then led to the on the southern region. During the King Dongseong period, a strong policy for controlling regions was carried forward as the political disorder was somewhat settled, and during the King Muryeong period, the direct control over the residents was realized. Government power was directly infiltrated into the regions by local officials who had been given titles of kings and empresses as well as by local powers who had become like central aristocrats under the County and Prefecture System. As a result, the cultural traditionality of each region weakened. In Sabi era, a change into the more systematized States and Counties Castle System was realized and the control of regions was established through local officials. It is presumed that the regions that had been organized into States and Counties Castle System were limited to the whole area of Woongju, Jeonju, Muju, which were organized into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fter Baekje was merged into Silla. In addition, these regions were controlled by the military order (county chief) or the lord of a castle who were dispatc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Nevertheless, it is understood that the powerful aristocratic power among the land-holding powers maintained the status as the local officials by having been organized into the official rank of the central govern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종원(Jong Won Kang). (2012).백제(百濟) 국가권력(國家權力)의 확산(擴散)과 지방(地方). 백제연구, 55 (1), 1-27

MLA

강종원(Jong Won Kang). "백제(百濟) 국가권력(國家權力)의 확산(擴散)과 지방(地方)." 백제연구, 55.1(2012):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