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성백제(漢城百濟)의 대외교류(對外交流)와 불교(佛敎)

이용수 145

영문명
Foreign exchange and Buddhism in the Hanseong Baekje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길기태(Ki Tae Kil)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55집, 67~9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초고왕은 동진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선진문물을 수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불교수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것은 이 시기에 이미 도가와 유가가 중심사상으로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는 한수 이남에서 열병할 때 軍旗가 황색을 띠고 있었던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근초고왕대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불교가 수용되지 않은 것은 도가·유가사상이 그 기능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이 시기 동진의 황제들도 불교에 우호적이기는 하였지만, 봉불군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것도 한 원인으로볼 수 있다. 침류왕대의 불교수용은 지배층 내부의 정치적인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근구수왕대부터 약화되기 시작한 왕권은 새로운 사상을 찾았고, 당시 백제 내부에 침투해 있던 불교는 그 대안으로 모색되었다. 그리하여 침류왕대 불교를 수용하자마자 사찰을 창건하고 10명을 도승할 수 있었던 것이다. 침류왕이 불교를 통하여 왕권을 고양하려던 의도를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마라난타의 성격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신이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 그러하다. 신이성을 곧 왕권과 연결시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왕실의 불교 수용이 귀족세력의 전적인 동의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침류왕과 진사왕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불교가 백제사회에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귀족세력들이 불교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왕실의 불교수용과 백제사회의 정착노력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서 찾아진다. 즉, 선문문화를 백제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기 이전에 이를 이식시키고자 함으로써 문화적인 이질성을 노출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아신왕은 즉위하면서 불교를 널리 퍼뜨리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렇지만 아신왕의 불교홍포 노력은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번번이 실패함으로써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개로왕대 불교는 도림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도림은 고구려의 승려로 환속하여 백제로 오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개로왕대에 불교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특히 개로왕 재위 18년에 북위로 보내고 있는 표문에 대대로 신령하신 교화를 받았으나 란 대목이 있는 것은 당시 백제의 불교가 남조에만 국한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King Geunchogo of Baekje did not introduce Buddhism whil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East Chin(東晋) as Taoism and Confucianism settled down as central ideology around that time. It can be inferred from Go Heung`s publication of Seogi(書記) and the yellow military flags during a fever outbreak below Hansu. During the reign of King Chimryu, Baekje introduced Buddhism due to political issues among the ruling class. The royal power, which started to weaken at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Geungusu, searched for a new ideology and found an alternative in Buddhism, which penetrated Baekje by that time. It is well indicated in the fact that King Chimryu was hasty in building Buddhist temples and designated ten Buddhist priests who have attained a spiritual enlightenment(度僧) as soon as he introduced Buddhism. He intended to solidify his royal power through Buddhism. It is well supported by the emphasis of Marananta`s amazing thing and abnormality(神異性). However, Buddhism accepted by Baekje`s royal court was not settled down in Baekje society. Coming to the crown after King Jinsa, King Ashin tried to spread Buddhism, which well reflecte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s. However, his attempts to spread Buddhism failed as he was defeated over and over again by Goguryeo.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King Gaero can be explained through Dorim, who moved to Baekje as a Goguryeo Buddhist priest. In particular, a diplomatic document containing Receiving enlightenment that will continue to be divine generation after generation to Northern Wei(北魏) on the 18th year of King Gaero`s rule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that Baekje`s Buddhism was not limited to southern dynasties those day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길기태(Ki Tae Kil). (2012).한성백제(漢城百濟)의 대외교류(對外交流)와 불교(佛敎). 백제연구, 55 (1), 67-90

MLA

길기태(Ki Tae Kil). "한성백제(漢城百濟)의 대외교류(對外交流)와 불교(佛敎)." 백제연구, 55.1(2012): 67-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