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TV 드라마에 나타난 가족 다양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177

영문명
A Study on Diversity of Family Configurations Reflected in Television Drama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최은경(Choi, Eunkyung) 송지은(Song, Jieun) 박성민(Park, Sungmin) 오진실(Oh, Jinsill) 임정하(Lim, Jungha)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3집 4호, 58~8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국내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주요 인물의 가족구조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한국 사회의 실제 가구 또는 가족구조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지상파, 종합편성, 케이블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총 67편을 선정하였다. 드라마 속 주요 인물 124명의 가구 및 가족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여성가족부의 2020년가족실태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 드라마 주요 인물이속한 가족의 구성원 수는 평균 2.4명이었다. 주요 인물이 속한 가구는 2세대 가구인 경우가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세대 가구, 3세대 가구가 그 뒤를 이었으며, 4세대 이상 가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2020년 가족실태조사 결과에서도 평균 가구원 수는 2.3명, 세대구성에서 2세대 가구가 가장 많았으나, 세대구성별 가구 유형에서는 드라마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요 인물이속한 1인가구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여성보다 남성인 경우가 더 많았고, 30대가 1인가구의과반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60대 이상의 1인가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혼인상태의 경우 미혼상태가 현저히 많았다. 반면, 2020년 가족실태조사 결과에서는 1인가구의 경우, 60세 이상의고령층이 과반을 차지했으며 혼인상태도 다양하게 나타나 드라마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결과를 바탕으로 TV 드라마에 나타난 가구 및 가족구조가 현대 사회의 다양성과 변화를 보다잘 반영하여 가족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versity of family configurations reflected in recent television dramas and compare them with the current demographic statistics in the national survey of family status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South Korea. Sixty-seven dramas aired in 2020 by terrestrial, comprehensive programming, and cable TV channe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focused on the family configurations of 124 main characters in dramas.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average number of family members was similar, 2.4 in drama and 2.3 in the 2020 Family Survey. The most common multi-generational household type was a two-generation home both in drama and the 2020 Family Survey, while the distribution of multi-generational household type was different. Second, general featur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drama included male, 30s, and unmarried, but prevalent 60s and above in age and diverse marital status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 have appeared in the 2020 Family Survey. The potential effect of family features in television programming on society’s views of the diversity of family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경(Choi, Eunkyung),송지은(Song, Jieun),박성민(Park, Sungmin),오진실(Oh, Jinsill),임정하(Lim, Jungha). (2021).국내 TV 드라마에 나타난 가족 다양성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33 (4), 58-80

MLA

최은경(Choi, Eunkyung),송지은(Song, Jieun),박성민(Park, Sungmin),오진실(Oh, Jinsill),임정하(Lim, Jungha). "국내 TV 드라마에 나타난 가족 다양성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33.4(2021): 58-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