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미야마 다에코의 ‘미술운동’이라는 현재적 공명판

이용수 78

영문명
Tomiyama Taeko and her Socio-political Movements through Art Work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신지영(Ji Young SHI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98집, 145~17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도미야마 다에코의 삶과 작품을 식민주의, 전쟁, 아시아 여성의 문제에 깊이 관여했던 실천적 미술운동으로 파악한다. 특히 탈식민주의적 지향과 함께 많은 난민여성이 체재하고 있는 한국에서 도미야마 다에코의 작품이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지 고찰했다. 분석대상은 1950년대와 1980년대 탄광에 강제동원당했던 조선인과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작품, 다큐, 글이다. 이 작품들 속에는 50년대에는 탄광의 노동자들과, 1960년대에는 라틴 아메리카로 건너간 해고 노동자들과, 1970년대에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1980년대에는 한국의 광주항쟁과 공감한 궤적과 변화가 나타난다. 또한 그 이후 도미야마는 위안부 및 아시아 여성이 놓인 상황에 깊이 공감하고, 아프가니스탄 난민의 고통을 표현하고, 일본 원전사고에 대한 비판적 작품을 만들어간다. 먼저 츠치모토 노리아키가 1984년에 만든 기록영화 「튀어라 봉선화: 나의 지쿠호 나의 조선」(1982)에는 일본 전후 고도성장의 근원에 식민지기에 강제동원이 있음을 표현한다. 이를 위해 도미야마는 당시 미술계의 주류였던 서양식 유화를 버리고 석판화를 통해 탄광의 칠흑같은 어둠을 표현하며, 자신의 가해자로서의 위치를 자각한다. 석판화만큼이나 도미야마의 인상적인 작업은 슬라이드다. 슬라이드에서는 말할 수 없게 된 존재들의 고통을 표현하기 위해 ‘무당(샤먼)’의 존재를 끌어들인다. 「튀어라 봉선화」에서 샤먼은 땅속에 묻힌 조선인 광부들의 소리를 들려주며, 「바다의 위안부」에서 위안부들의 증언이 침묵, 의성어, 의태어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바다로부터의 묵시」는 2011년 3월 일본의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만든 작품으로, 증언·구술하는 것이 불가능한 존재들의 소리를 들려준다. 이 모든 표현의 배경에는 일본과 한국의 페미니스트, 활동가, 예술가들 사이의 긴밀한 연대가 존재한다. 이처럼 도미야마의 미술운동은 식민주의와 전쟁,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인종주의와 인간중심주의 및 종차별주의를 관통하면서, 연대를 기반으로 한 사회참여적 미술 활동이 보이지도 않고 주체가 될 수도 없는 존재들의 소리를 어떻게 담을 수 있는지, 당사자성을 넘어서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도미야마의 미술운동은 한국 사회 속 난민 여성과 도축장의 동물의 상황 등과 연결되며, ‘조선(한국)’이라는 폐쇄적인 위치를 벗어나 연결될 수 있는 미술운동의 단초가 된다.

영문 초록

I suggest that Tomiyama Taeko’s life and art works can be characterized as practical engagement through doing arts. where her activities were against colonialism, war, sexism and the like. I turn on the currently potential effects her works may make on the attitude of the Korean people towards the displaced residing in Korea with the perspective of decolonialism. I deal with her art works, writings and documentaries of the 1950’s concerning the Japanese victims who suffered from the forced labor in the coal mine areas in the 1950’s and those of the 1980’s concerning the Korean laborers and comfort women who were conscripted by for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themes in her works range from the mine workers in the 1950’s, to Japanese fired workers who emigrated to Latin America in the 1960’s, to pro-democracy movements including Gwangju Uprising in the 1970’s and beyond. They show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of the comfort women, refugees from Afghanistan, and other discriminated Asian women. They also criticize the nuclear power plants and represent the disasters as we saw from the Fukusima and Chernobyl accidents. Tsuchimoto Noriaki produced a documentary film titled as “Run Away with it, Garden Balsam: My Chikuho, My Chosun” in 1982 and suggested that the forced mobiliz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 a source of highly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post-war Japan. In the film, Tomiyama chose lithographs instead of oil paintings in order to represent the terrifying pitch-darkness in the mines. Here she acknowledged the imperial Japanese as perpetrators. Her photographic slides are as impressive as her lithographs. With the photographic images, she features a shaman, who laments the sufferings, agonies, and pains of those who have no right to speak and have been denied any chances to be heard. In “Run Away with it, Garden Balsam,” the shaman pleads with the sympathy for the benefit of those Korean coal miners buried in the underground with grudge and resentment. In “Comfort Women in the Sea,” the testimonies are expressed by silence, onomatopoeic words and mimetic words, not by verbal words. “Apocalypse from the Sea”, which came out after the tsunami and nuclear power plant disaster in Japan, enables us to hear oral testimonies of those who have no power to speak for themselves. The representations throughout her works implicate intricate and elaborate alliances with feminists, activists and artists both in Korea and Japan. The movements done by Tomiyama through doing arts involve colonialism and war, capitalism and imperialism, and racism, anthropocentricism and species-ism. Her life-long works in turn display how testimonies and oral statements express the words of invisible subjects who cannot speak of themselves, and how far they transcend the victimhood they have experienced till now and they will onwards. I, also, argue that the spirits in her works extend to the socio-economical conditions of the displaced or refugee women, and even to the animal conditions in the slaughterhouses. I believe that her life and works provide a motive for the escape from the closed-mind set of the Korean people towards the minority groups.

목차

1. 거대한 슬픔과의 만남: 도미야마 다에코의 ‘미술운동’이라는 공명판
2. 또 하나의 어둠, 또 하나의 탄광 - 「튀어라 봉선화: 나의 지쿠오 나의 조선」
3. 또 하나의 바다, 여러 개의 중얼거림들: 주체가 될 수 없는 자들의 해방
4. ‘기념·기림’이 아닌 ‘공명·파열’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지영(Ji Young SHIN). (2022).도미야마 다에코의 ‘미술운동’이라는 현재적 공명판. 동방학지, 198 (1), 145-172

MLA

신지영(Ji Young SHIN). "도미야마 다에코의 ‘미술운동’이라는 현재적 공명판." 동방학지, 198.1(2022): 14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