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金宗直의 매화시 고찰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Plum Blossom Poems of Kim Chongchik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張眞熀 (Jang, Jin-youp)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90호, 67~10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金宗直은 서거정, 김시습 등과 함께 성종 대를 대표하는 한시 작가이다. 그런데 서거정과 김시습이 조선 전기의 주된 梅花詩 작가로 거론되고 있는 것과 달리 김종직의 매화시는 아직 연구된 적이 없다. 조선 전기 매화시의 계보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김종직 매화시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이다. 『悔堂稿』 및 『佔畢齋集』에 수록된 김종직의 매화시는 모두 22題 35首이다. 본론에서는 먼저 김종직 매화시의 제목과 형식, 창작 시기를 표로 제시하고, 각 작품의 창작 정황을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김종직 매화시의 표현 양상을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 번째 양상은 일상 속의 친근한 동반자로서의 매화 형상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김종직은 관료 생활의 여가에, 또 관직 수행 중에 늘 매화를 가까이하며 마음을 나눴다. 작품들 속의 매화는 고고한 은자의 형상이 아니라 친근하고 다감한 벗의 모습을 하고 있다. 두 번째 양상은 심미적 태도를 바탕으로 매화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김종직은 매화의 孤高한 절개와 같은 정신성에 주목하기보다는 매화의 고목과 꽃, 향기 등에 주목하여 그 아름다움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치중하였다. 특히 題畫詩 작품들에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다. 세 번째 양상은 매화의 생명력에 대한 경탄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에도 매화의 개화를 生生之理나 天機의 발현으로 보는 觀物의 태도가 간혹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觀照的․哲理的 태도가 작품의 주제를 이루고 있지는 않다. 매화에 담긴 易의 이치를 말한 것은 매화의 생명력을 드러내기 위해서이며, 이는 화자의 흥취를 돋우는 역할을 한다. 생동하는 미적 대상과의 만남과 그 기쁨이야말로 김종직 매화시의 주된 주제이다. 이상의 특징을 요약하면 “관념적 상징성의 약화와 심미적 태도의 전면화”이다. 한편 김종직의 매화시에 나타나는 화락한 기상과 관념성의 부재는 주어진 현실 속에서 주변과 조화를 이루며 자신의 뜻을 성실하게 펼쳐가려고 했던 작가의 삶을 반영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매화시는 온화한 기상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서거정의 작품과도 유사하다. 그러나 서거정이 매화를 읊음으로써 賢相으로서의 사명감을 다짐한 것과 같은 예는 찾아볼 수 없다. 방외인 문학의 특성을 보이는 김시습의 매화시는 두 사람과는 다른 미적 특질을 보여주지만, 매화의 정신성에 대한 경도라는 측면에서 서거정의 작품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김종직의 매화시는 두 작가의 작품과 차이를 보인다. 김종직의 매화시에 대한 검토는 조선 전기 매화시의 계보를 완성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이와 관련하여 서거정과 김시습 외에 동시기 다른 작가들의 매화시와는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Kim Chongchik, along with Sŏ Kŏchŏng and Kim Sisŭp, is one of the most well regarded poets from the Sŏngjong era. However, unlike Sŏ Kŏchŏng and Kim Sisŭp - who are regarded as the main writers of plum blossom poems from Early Chosŏn era - plum blossom poems of Kim Chongchik had not been studied yet. In order to complete the genealogy of Early Chosŏn plum blossom poems, his works prompt inspection. As for Kim Chongchik‘s plum blossom poetry, there are thirty five verses under twenty two titles included in Hoedanggo (Manuscript of Hoedang) and Jeompiljaejib (Collected Works of Jeompiljae). The list of poems’ titles, formats, and written dates is provided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nd is followed by close illustration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poems were written, sorted by era. Then expressions featured in plum blossom poems a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plum blossom is depicted as a friendly companion of everyday life. Kim Chongchik kept plum blossom close during his spare time from life as an official, or while performing his civic duties. In the works, plum blossom is not a detached recluse but rather a neighborly and cordial friend.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 aesthetics of plum blossom is particularly highlighted. Kim Chongchik focused on illustrating the tree, flower, and scent of plum blossom in detail,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mental properties of plum blossom, such as towering integrity. This tendency often appears in the works of painting poetry. The third aspect is that Kim Chongchik often marvels the vitality of plum blossom. In his works, he takes the stance of observation(觀物) – regarding the flowering of plum blossom as principle of life(生生之理) or manifestation of nature’s secret(天機). Still, his this kind of attitude does not constitute the focal theme in the works; Kim Chongchik only discusses the principles of the Changes(易) embodied in plum blossom in order to emphasize its vitality – and this works to heighten the excitement felt by the speaker. The main theme of Kim Chongchik’s plum blossom poems is the joy that comes from meeting a lively aesthetic object. In short,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could be encapsulated as “weakened abstract symbolism and outright aestheticism”. It could be said that strong amicable spirit and contrasting lack of conceptuality in Kim Chongchik‘s plum blossom poems reflect the poet’s life philosophy, who sought to achieve harmony with his surroundings and diligently pursue his ideas in real life. In the sense that his plum blossom poems prominently feature the flower’s amicable spirit, they seem to be similar to the works of Sŏ Kŏchŏng. However, while Sŏ Kŏchŏng expressed his resolution to live as a wise prime minister by featuring plum blossom, no such intentions can be found in the poems of Kim Chongchik. The plum blossom poems of Kim Sisŭp, which displays characteristics of outsider poetry, shows yet different aesthetics with the two, but still has some commonality with the works of Sŏ Kŏchŏng in that it leans into the mental properties of plum blossom. In this aspect, plum blossom poems of Kim Chongchik is unlike the plum blossom poems of the other two writers. Examining the plum blossom poems of Kim Chongchik is a necessary step in completing the genealogy of Early Chosŏn plum blossom poems. Following this, there is also a need to thoroughly prob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plum blossom poems of other writers – writers other than Sŏ Kŏchŏng and Kim Sisŭp.

목차

1. 들어가며
2. 김종직의 매화시 개관
3. 김종직 매화시의 표현 양상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張眞熀,(Jang, Jin-youp). (2022).金宗直의 매화시 고찰. 동방한문학, 90 (1), 67-108

MLA

張眞熀,(Jang, Jin-youp). "金宗直의 매화시 고찰." 동방한문학, 90.1(2022): 67-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