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谿谷 張維 詩論 硏究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n Gye-kok Chang-yu(谿谷 張維)’s criticism of poem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Odes”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鄭香春(Zheng Xiangchun)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90호, 141~17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려서부터 타고난 자질이 총명했던 谿谷 張維는 『詩經』 등 유가경전은 물론 道家․佛家․醫卜․天文․地理 등에 통했고, 그의 학문성취도 이에 힘입었음은 자타가 공인하는 바다. 본고는 이와 같은 학문적 배경을 전제로 계곡의 시론에 끼친 『시경』의 영향에 주목하여 詩序說, 詩史經說, 辭賦說, 天機說을 고찰하였다. 계곡의 「詩序」는 「毛詩序」를 버리고 “淫者自作”설을 주장한 주자의 견해를 정면으로 부정했다. 이는 주자일변도의 학문적 분위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고방식으로 학문연구에 임해야 한다는 개방의식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詩史經說은 詩․史․經이 융합된 杜詩는 주로 『시경』을 비롯한 유가경전에서 자양분을 섭취한 것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杜詩를 詩史로 간주하는 상식에서 벗어난 계곡만의 이해이다. 그리고 “言切志深”, “事核而備”, “刺婉不隱” 등 詩․史․經의 특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논할 수 있고, 이런 작품이 훌륭한 시라는 詩論의 내함을 추출할 수 있다. 詞賦說은 「離騷」는 『시경』의 변종이고 사부는 또 「이소」의 변체이며, 『시경』, 「이소」, 사부로 이어지는 연결 키워드는 “麗以則”으로 보았다. 사부는 情性을 바로잡고 인간의 양심과 사물의 법도를 회복시키는 등 詩敎의 측면에서 『시경』 등과 근사하다. 단 사부에 경도된 중요한 원인의 하나가 곧 귀신같은 절륜한 文藝의 경지로 파악된다. 이는 “獨秉天機”의 경지에 임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시사한다. 天機說은 천기의 내함을 진솔한 감정을 자연스럽게 발로한 것이라 하여 “성색” 등 형식 요소도 망라시켰다. 천기를 직접 경술과 연관시키지는 않았지만, 시문에 대한 자타의 평에서 언제나 經本설이 주로였음을 알 수 있었고, 시평의 용어나 개념 등도 대체로 유가시론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았다. 계곡이 주장한 “以人觀詩”시점에서 보면 천기설의 기반은 유가의 시론에 있음이 분명하다. 이는 國風을 천기의 시로 규정한 洪良浩의 언급에서도 방증된다. 특히 “以人觀詩”설은 현대의 사회역사비평방법론에 해당하고, “眞情實境”, “情境妥適”은 “情景交融”의 意境에 다름 아니다. 그리고 천기설은 현대의 시 창작논의 靈感說과도 맥이 통한다. 요컨대 계곡의 천기설은 재래의 시론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현대인의 의식에 다가선다는 점에서 가치를 논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t is well known that Gye-kok Chang-yu, who was born with bright qualities since he was young, was proficient not only in Yuga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f Odes”, but also in Taoists(道家)・Buddhist(佛家)・medicine and divination(醫卜)・astronomy・geography. And further his academic achievement was also supported by these studies. On the premise of this academic background, this paper studies theory of Si-seo(詩序說), theory of Si-sa-gyeng(詩史經說), theory of Sa-bu(詞賦說), theory of Cheon-gi(天機說),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Odes” on Gye-kok’s criticism of poems. Gye-kok’s “Si-seo(詩序)” had abandoned “Mo-si-seo(毛詩序)” and completely denied Juja(주자)’s opinion that claiming the theory of “obscene writers(淫者自作)”.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an open consciousness that academ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of thinking, breaking away from the academic atmosphere of one-sided to the Juja. The theory of “Si-sa-gyeng” could be seen that Du’s poetry which was fused by peotry, history, and scriptures were mainly influenced from the Yuga scriptures, including “The Book of Odes”. This is a creative understanding of Gye-kok which has deviated from common sense that regards Du’s poetry as a history of poetry. It is worthy that Gye-kok has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i-sa-gyeng as “keen and meaningful(言切志深)”, “well equipped content with the point(事核而備)”, “the satire is indirect without hidden(刺婉不隱)” and the content of Gye-kok’s criticism of poems could be extracted from these facts above. The theory of “Sa-bu(詞賦)” considered “I-sao(離騷)” as a variety of “The Book of Odes”, “Sa-bu” as a version of “I-sao”, and the connecting keyword between “The Book of Odes”, “I-so” and “Sa-bu” as “beautiful and custom(麗以則)”. “Sa-bu” is similar to the role of “The Book of Odes” in Si-gyo(詩敎), such as correcting disposition and restoring human conscience and the law of things. However,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Gye-kok’s tendency to “Sa-bu” is identified as the state of spiritual and exquisite literature and art. This suggests that it cannot be achieved unless it reaches the level of “nature’s mystery(獨秉天機)”. The theory of “Cheon-gi(天機)” includes form elements such as “the sound and color of the poem(聲色)” which has the content of nature expression of sincere feelings. Although Gye-kok has not directly related Cheon-gi to scriptures, it was found that his criticism of poems is always based on Yuga scriptures from the reviews by himself or others. His terms and concepts of poetry review generally has not deviate from the category of Yuga’s criticism of po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I-in-gwan-si(以人觀詩)” claimed by Gye-kok, it is clear that the basis of the theory of “Cheon-gi” lies in Yuga’s criticism of poems. This is also evidenced by the mention of Hong Yang-ho(洪良浩), which defines “Guk-pung(國風)” as a poem of Cheon-gi. In particular, the theory of “I-in-gwan-si(以人觀詩)” corresponds to the modern social criticism methodology. “Sincere feelings and realistic environment(眞情實境)” and “suitability between feelings and conditions(情境妥適)” are nothing but the artistic conception(意境) of “fusion of feelings and conditions(情景交融)”. The theory of “Cheon-gi” is in line with the inspiration theory(靈感說) of modern creation of poetry. In short, the value of Gye-kok’s Cheon-gi theory could be discussed in that it approaches modern consciousness while based on traditional criticism of poems theories.

목차

1. 머리말
2. 詩序說
3. 詩史經說
4. 詞賦說
5. 天機說
6.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鄭香春(Zheng Xiangchun). (2022).谿谷 張維 詩論 硏究. 동방한문학, 90 (1), 141-178

MLA

鄭香春(Zheng Xiangchun). "谿谷 張維 詩論 硏究." 동방한문학, 90.1(2022): 141-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