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교육의 목적론적・인식론적 한계

이용수 162

영문명
The Limits of the Teleological and Epistemological Views in Competenc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김희봉(Kim, Hee-Bong)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6권 제1호, 59~7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역량교육을 목적론적 관점과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DeSeCo 프로젝트 이후 많은 나라에서 공교육의 틀을 역량교육으로 전환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역량교육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학들도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역량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역량교육은 그동안 학교교육이 해왔던 무기력한 지식교육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였다. 이 논문은 역량교육이 지닌 한계를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먼저, 목적론적 관점의 비판으로, 교육목적은 반드시 완결형으로 제시하기 어려운 불확정적 속성이 있다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동의할 수 있는 교육의 핵심 역할은 학생들의 지적인 독자성을 고무하는 것임을 밝힘으로써 확정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성과를 확인하려는 역량교육이 지닌 한계를 지적한다. 또 인식론적 관점의 비판으로, 역량교육이 추구하는 실제적, 실천적 수행능력 함양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것을 위해서 역량교육 이외에도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가 있음을 밝힌다. 방법적 지식을 구성하는 요소들인 기능, 통섭적 능력, 프로젝트 관리능력을 검토함으로써 현재의 역량교육이 매우 협소한 개념에 치우쳐있음을 지적한다. 교육은 인간의 삶을 위한 것이고 삶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다면, 역량교육을 통해 잃어버린 차원이 많을 수밖에 없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competency education from the theories of educational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shown a tendency to convert the public education framework into competency education. South Korea is also striving to provid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universities are emphasiz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its quality. Competency education has been accepted as an alternative to supplement or replace the lethargic knowledge education that school education provides. This study critically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competency education. First, it criticizes the viewpoint of the aim of education, as the educational aims have an uncertain attribute that is difficult to present as a complete type, and the key role of education that can be agreed upon by most people is to inspire students intellectual independence, suggesting a definite purpose and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competency education in confirming performance. Second, even if the practical performance ability pursued by competency education is recognized by the criticism of the epistemological viewpoint, there are various aspects to consider in addition to competence. By examining the concepts that constitute know-how, such as skills, transversal abilities, and project management abilities, it is pointed out that current competency education is biased toward a very narrow concept. Education regards human life, and it critically discusses that many dimensions are lost through competency education if various aspects of life ar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교육목적의 불확정성에 비추어본 역량교육의 한계
Ⅲ. 방법적 지식의 포괄적 관점에서 본 역량교육의 한계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봉(Kim, Hee-Bong). (2022).역량교육의 목적론적・인식론적 한계. 교육사상연구, 36 (1), 59-79

MLA

김희봉(Kim, Hee-Bong). "역량교육의 목적론적・인식론적 한계." 교육사상연구, 36.1(2022): 59-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