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변한 목곽묘 부장 노형토기의 시·공적 의미

이용수 217

영문명
Spatiotemporal Aspect and Meaning of the Brazier-Shaped Pottery Excavated from Wooden Chamber Tombs in Jin·Byeonhan region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일중(Kim, Il Ju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2호, 47~6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형토기는 대부광구호나 대부직구호와 함께 진·변한 후기와질토기의 주요 기종 중 하나로, 생활유구보다 주로 분묘에서 출토된다. 대부광부호나 대부직구호와는 달리 4세기를 즈음하여 도질의 노형기대로 변화하는 노형토기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분화되고, 부장량이 증가하면서 목곽묘 내 특정한 위치에 부장되는 등 후기와질토기의 다른 기종과는 출토맥락을 달리한다. 노형토기의 이러한 점은 진·변한에서 신라, 가야로의 전환을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 이 글에서는 노형토기 부장양상에 대한 시·공적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노형토기는 중형에서 시간에 따라 대형과 소형으로 크기의 분화와 부장양의 증가가 있었다. 따라서 노형 토기의 크기와 부장량, 부장위치에 따른 부장유형은 목곽묘 구조와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지역적 차이를 드러낸다. 단독곽에서는 중형의 노형토기, 주·부곽에서는 대, 중, 소형의 노형토기가 부장되며 목곽 내 여러 곳에 부장되는 등 부장양상은 시간에 따라 분화된 모습을 보이지만, 공시적으로는 지역색을 보여서 경주와 포항, 울산 그리고 부산과 김해 등 3개의 지역권 설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노형토기의 부장양상에서 보이는 3세기대의 경주-포항, 울산, 부산-김해 세 지역권을 진·변한에서의 지역 간 분화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brazier-shaped pottery(爐形土器) was one of the main types along with the largemouthed jar with stand(臺附廣口壺), the straight up-mouthed jar with stand(臺附直口壺) in the latter soft grayish pottery in period(後期瓦質土器). It shows the difference from jars with a stand in that it changes to a gray-blue hard surface around the 4th century. In addition, it was excavated mainly from tombs rather than living ruins(生活 遺構), and its size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ime. As the amount of burying increased, the specific burial pattern was seen in the wooden chamber tomb(木槨墓). It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latter soft grayish pottery of the same period. In this article, it would be mentioned the regional meaning of burial pattern by analyzing burial pattern of the brazier-shaped pottery to be specified the transition from Jin·Byeonhan(辰弁韓) to Silla and Gay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urying of the brazier-shaped pottery increased in quantity as the size was differentiated from medium to large and small. The burying types could be categorized into 10 earthenware types. The size differentiation, the burial quantity, and burial position of the brazier-shaped pottery had a correl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tructure of wooden chamber tomb.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razier-shaped pottery were revealed by showing the correlation. The medium sized pottery was buried in single chamber(單獨槨) tomb. However, as various sizes of earthenware were buried in the tomb with attached chamber(主副槨式), the burial types were also diversified. With the pattern of change over time, The burial patterns of brazier-shaped pottery we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Gyeongju Pohang region, Ulsan region and Busan and Gimhae region.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the burial aspect of brazier-shaped pottery was interpreted as the differentiation between Jinhan and Byeonhan regions centered on the brazier-shaped pottery in the 3rd century.

목차

I. 머리말
II. 노형토기 부장유형과 양상
1. 대상유적
2. 부장위치
3. 부상양상
Ⅲ. 노형토기 부장의 시·공적 의미
1. 부장위치 유형의 전개
2. 지역별 양상과 의미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중(Kim, Il Jung). (2022).진·변한 목곽묘 부장 노형토기의 시·공적 의미. 영남고고학, (92), 47-68

MLA

김일중(Kim, Il Jung). "진·변한 목곽묘 부장 노형토기의 시·공적 의미." 영남고고학, .92(2022): 47-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