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良·尙·康州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分布 定型

이용수 211

영문명
The Distribution Regularity of Tang style metal Belt Excavated around the Yang-Ju Sang-ju Gang-ju of Sill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최정범(Choi, Jung Bum)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2호, 185~21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에서 당식 대장식구는 2021년 11월 현재 643式을 상회하며 앞으로도 그 수는 증대될 것으로 예기된다. 주지하다시피 당식 대장식구의 소유자를 관인으로 보는 만큼,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신라 지방사회의 고고학적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 이에 原 신라 영역인 영남지역에서의 분포 정형을 먼저 검토할 필요가 있는데, 이 지역은 통일신라기 양주·상주·강주에 해당된다. 중고기에는 중국과의 교섭을 통해 역심엽형 대장식구와 구분되는 소위 황룡사형 대장식구가 특정 지방에 이입된다. 그러나 기존의 대장식구를 대체하지는 않고 일정기간 역심엽형 대장식구와 공존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계층이 소유한 것으로 판단된다. 김춘추의 唐 服制 도입과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당식 대장식구는 지방 전역으로 확산된다. 재질은 대부분 청동이며, 옻칠을 부가하는 등의 가시적 차별성을 두어 소유자의 위계를 구분하였다. 그 소유자는 外官 都督 예하의 지방 관인에 해당된다. 하대에 이르러 중앙집권 체제가 동요하면서 지방에서 당식 대장식구의 출토 사례가 급감한다. 이는 지방 세력의 성장과 맥을 같이 한다.

영문 초록

As of November 2021, the number of Tang-style metal belts found in South Korea exceeds 643, and the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As it is widely known that the owners of Tang-style metal belts were government officials, it is easy to access Silla’s local societies archaeologically via this perspective. Therefore, one must first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belts in the Yeongnam region, which is the original Silla territory, and the areas corresponding to Yangju, Sangju, and Gangju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the so-called Hwangyongsa-style metal belts, distinguished from the inverse heart-shaped metal belts, were importedintospecificregions through contact with China. However, these did not replace the existing metal belts. They coexisted with the inverse heart-shaped metal belts for some time and are thought to have belonged to officials of a relatively lower class. After Kim Chun Chu’s introduction of an official uniform system a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under Silla, Tang-style metal belts spread throughout the regions. The primary material was bronze, and the rank of the owner was indicated by visible differences, such as added lacquer. Owners of those belts were provincial officials subordinate to the chief controller of the provincial governments. In the late Silla period, the centralized system was in turmoil. This coincided with the growth of provincial lords. As a result, the number of excavated cases of Tang-style metal belts in the regions outside the capital declined sharply.

목차

I. 머리말
II. 당식 대장식구 출토현황
Ⅲ. 신라 영역의 확장
IV. 지방통치체제의 안정
Ⅴ. 하대 정국의 동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정범(Choi, Jung Bum). (2022).新羅 良·尙·康州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分布 定型. 영남고고학, (92), 185-213

MLA

최정범(Choi, Jung Bum). "新羅 良·尙·康州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分布 定型." 영남고고학, .92(2022): 185-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