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에서 고찰한 洪大用의 「毉山問答」

이용수 7

영문명
Hong Daeyong‘s Uisanmundap considering in interlocutory prose s creation tradition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禹芝英(Woo, Jee-young)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52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毉山問答」은 조선후기의 실학자 湛軒 洪大容(1731~1783)의 철학적 사유·자연과학적 지식·사회정치 사상이 총망라된 작품이다. 중국과 조선의 접경지대에 위치해 있는 毉巫閭山에서 虛子가 實翁을 만나서 듣게 되는 人物均·地轉說·宇宙無限說·域外春秋論 등의 담론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산문답」을 ‘서술방식’이라는 분류 기준 하에 ‘문답식 산문’으로 갈래지운 후, 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과 그 특징의 구현 양상이라는 맥락 속에서 작품을 분석하였다. 우선 「의산문답」의 문학적 장치를 고찰함에 있어서 서사적 구성요소인 인물과 배경이 작품 속에서 기능하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작품의 등장인물인 ‘허자’와 ‘실옹’은 그 이름을 통해 드러나는 이미지만으로도 일정정도의 개성과 전형성을 획득하고 있다. 실재하는 인물이 아니기에 얻어지는 허구적인 효과 이외에, ‘虛’와 ‘實’이라는 이름에는 이미 등장인물의 성격이 확정되어 있다. 그리고 작품의 배경으로 실재하는 공간인 의무려산을 정해 놓음으로서 작품의 서사성을 제고하고 있다. 다음으로 「의산문답」의 서사부와 의론부의 전개양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의산문답」은 작가의 세계관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 즉 說理的인 목적에 의해 작성된 글이므로 이 작품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꼽아볼 수 있는 점은 ‘의론성’이다. 하지만 작품의 본론이라고 할 수 있는 실옹과 허자의 학술적 문답이 자연스럽게 도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사부의 내용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데 꽤나 공력을 들이고 있다. 의론부에서는 허자의 물음과 실옹의 답변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작자 홍대용의 사상이 펼쳐지고 있다. 방대한 주제의 사안을 한 편의 글 속에 효과적으로 담아내고, 잡다한 소재의 지식을 요연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 글이 문답의 서술방식으로 작성되었기에 가능한 효과라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Uisanmundap(毉山問答)」 is Damheon Hong Daeyong(湛軒 洪大容, Joseon Dynasty s a pragmatist, 1731~1783) s literary work which covers his philosophical thinking, scientific knowledge, and political idea. The work s main contents is discussion about Inmulgyun(人物均) , the heliocentric theory, the steady state theory and Yeokoichunchuron(域外春秋論) which Heoja heard from Silong in Uimuryeo mountain(毉巫閭山). In this treatise, I analyzed the work in a vein of interlocutory prose s creation tradition and the feature s embodiment aspect after classifying Uisanmundap into interlocutory prose. In the first place when considering Uisanmundap s literary equipment, I found out the function of a character and a background which are descriptive structural elements. This work s dramatis personaes, Heoja and Silong, have personality and symbolism by name. The dramatis personaes s character is set due to name, Heo(虛) and Sil(實) , except for fictitious effect due to imaginary person. And, this work raised descriptive character setting Uimuryeo mountain(毉巫閭山) which really exists as this work s background. Next, I considered the development aspect of Uisanmundap s descriptive part and argument part. Uisanmundap s main peculiarity is argumentative character because the writer wrote this work to disclose the writer s a view of the world. But, the writer made much effort in making descriptive part s contents shapely to draw naturally Heoja and Silong s academic question and answer which is this work s main. In the argument part, the writer s idea was expressed as Heoja s question and Silong s answer. I think that this work expressed effectively massive theme and miscellaneous knowledge by a writing. But, these were possible because this work was written by catechetical description.

목차

1. 서론
2. 인물의 전형성과 배경의 상징성
3. 서사부와 의론부의 전개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禹芝英(Woo, Jee-young). (2012).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에서 고찰한 洪大用의 「毉山問答」. 동방한문학, (52), 1-16

MLA

禹芝英(Woo, Jee-young). "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에서 고찰한 洪大用의 「毉山問答」." 동방한문학, .52(2012):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