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정사회 구현을 향한 종교개혁 운동

이용수 151

영문명
Reformation Movement for a Just Society: Historical Lesson of the Sixteenth Reformation Movement
발행기관
혜암신학연구소
저자명
김주한(Joohan Kim)
간행물 정보
『신학과교회』제16호, 101~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 전통을 유산으로 물려받은 한국 개신교회의 현재는 본질 상실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종교개혁 운동의 본질은 무엇인가? 그것은 “본질로 돌아가자!”(ad fontes!)이다. 여기서 “본질”은 무엇인가? 교회의 교회다움의 회복이다. 그렇다면 교회다움의 회복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종교개혁자들이 직면했던 시대적 과제였다.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은 단일대오를 형성하며 전개된 운동이 아니었다. 종교개혁운동 그룹들의 구성체를 분석해 볼 때 사회적인 계급과 신분에 따라 개혁 운동의 성격, 범위, 목표 등이 달랐다. 종교개혁운동의 제 세력들은 로마 가톨릭주의를 반대하고 새로운 교회질서를 수립하려는 방향에서는 공동보조를 취하였지만, 당대 세상 권력층과 기성 사회구조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서로 입장을 달리하였다. 각 개혁 집단들이 종교개혁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충돌, 대립을 하였던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었다. 지금까지 종교개혁운동의 중심세력은 루터, 츠빙글리, 칼빈으로 대표되는 그룹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들은 각자 영역에서 로마 가톨릭 체제에 저항하고 교회의 새로운 질서를 수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세상 권력과 협력하고 때로는 적극적인 지지와 도움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들과 다른 방향에서 종교개혁운동을 전개했던 그룹이 있었는데 종교개혁을 통해 사회혁신을 꿈꾸었던 세력들이다. 이들의 사회적 계급이나 신분은 주로 농민, 상인, 수공업자 등 하층계급이 주를 이루었다. 말하자면 이들의 종교개혁은 아래로부터 전개된 운동이었다. 유럽 대륙의 여러 지역에서 전개된 일부 엘리트나 명망가 중심의 도시 종교개혁운동이나 잉글랜드처럼 국왕 주도의 종교개혁운동과 달리 농촌이나 산악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종교개혁운동은 당대 대중의 눈에 비친 로마 가톨릭교회의 적폐의 실상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제도권(magisterial) 종교개혁운동의 성격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더 선명하게 드러내 준다. 이 글은 중세 후기 로마 가톨릭 체제의 적폐를 비판하고 저항하며 새로운 교회체제를 꿈꾸었던 종교개혁 운동가들의 비전과 사상, 운동의 실상들을 분석하여 오늘의 한국 개신교회가 역사적 교훈으로 수용해야 할 부분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영문 초록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which inherited the 16th century European Reformation tradition as a legacy, is facing a crisis of loss of essence. What was the essence of the Reformation movement? It is “Let s get back to the essence!” (ad fontes!) What is the “essence” here? It is the restoration of the ecclesial character of the church. If so, what and how will it be done for the restoration of church integrity? It was the task of the times that the Reformers faced. The European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was not a movement that developed as a united rank. When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Reformation movement groups, the nature, scope, and goals of the Reform movement differed according to social class and status. The various forces of the Reformation movement took joint assistance in the direction of opposing Roman Catholicism and establishing a new church order, but they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looking at the world s powerful class and the established social structure. It is for this reason that each reforming group clashed and confron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Reformation movement. Until now, the central force of the Reformation movement has been regarded as a group represented by Luther, Zwingli, and Calvin. In their respective fields, they cooperated with the existing world powers to resist the Roman Catholic system and establish a new order for the church, and sometimes actively requested support and hel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group that developed the Reformation movement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se groups, who dreamed of social innovation through the Reformation. Their social class or status was mainly composed of tintegrityhe lower classes such as farmers, merchants, and artisans. In other words, their Reformation was a movement that developed from below. Unlike some elite or prestigious urban Reformation movements developed in various regions of continental Europe, or King-led Reformation movements such as England, the Reformation movement developed mainly in rural and mountainous areas reveals more clearly what was the reality of the corrupt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the eyes of the masses of the time. Also, it shows wha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agisterial reform movement were. This article analyzes the visions, ideas, and realities of the Reformation activists who criticized and resisted the evils of the Roman Catholic system in the late Middle Ages, and to examine what part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oday should be accepted as historical lessons.

목차

I. 시작하는 글
Ⅱ. 로마 가톨릭 체제와 그 부작용들
Ⅲ. 하나님의 정의(Iustitia Dei)와 하나님 나라
Ⅳ. 마치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한(Joohan Kim). (2021).공정사회 구현을 향한 종교개혁 운동. 신학과교회, (16), 101-132

MLA

김주한(Joohan Kim). "공정사회 구현을 향한 종교개혁 운동." 신학과교회, .16(2021): 101-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