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儒佛交遊 양상과 배경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Centering of Choeui Zen priest’s Social Intercourse Poems−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金美善(Kim, Mi-seon)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71호, 121~15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문학에서 찾는 ‘友道-참 사귐’의 길에서 佛家와 儒家의 종교․사상․이념까지도 초월한 大乘的 儒佛 交遊의 위상을 고찰하였다. 초의선사의 유불불이 실천은 그의 『一枝盦詩藁』에 80여 수가 넘는 작품으로 남아 있었다. 초의선사의 시문학에 나타난 불이의 교유 양상에 대한 諸家의 평가는 唐宋八大家를 넘나드는 詩格․蔬筍氣를 벗어난 堅忍性의 詩氣․능소화가 홀로 핀 듯한 詩文․儒佛 涉獵의 학문적 詩名․同歸殊塗한 不二의 詩神․跡禪心儒의 圓融한 神語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한 초의의 유불 교유양상의 시세계에서는 不二交遊의 茗禪에서 특히 同年으로서 禪과 茶와 詩 등을 통해 교유한 秋史 金正喜 및 海居道人 洪顯周, 洪奭周, 紫霞 申緯, 金命喜 등과 茗禪의 참 사귐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儒佛 交遊의 人事에서는 茶山 丁若鏞, 韓校理, 理贊學者 등과 교유에서 상대를 찬미하고, 법문을 설하여 주고, 송별의 정한을 교유하고 아미타부처님 곁으로 떠나는 지인의 죽음을 애도한 인사의 교유를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僧俗不二․儒佛不二의 수행자이면서도 소탈하고 따뜻한 생활인이었던 초의선사의 면모를 그의 교유시 양상에서 밝혀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ed with centering of Choeui Zen priest’s Social Intercourse poems about Mahayana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 which was transcendental religion, thought and ideolog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way of ‘friendship road- truly acquaintance’ which seeks in Chinese literature. In the poetry world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Aspect of Choeui in this base, I identify the truly acquaintance of Myeongseon such as between Chusa Kim, Jeonghee and Haegeodoin Hong, Hyeonju, Hong, Seokju, Jaha Sinwi, Kim, Myeonghee and Myeongseon of buigyoyu, especially through Seon and Da and Si as a same year. In Insa Confucianism and Buddhism Social Intercourse, Dasan Jeongyakyong, Han, Gyori ,Ichanhakja and so on intercourse, praises relative and comments about Buddhist writings and intercourse the intrepidity of farewell and I confirm Insa intercourse of mourning in friend’s death going into Amitabha. As if the above, Choeui Zen priest can be seen as a trainee of Seungsokbuli, yubulbuli and he is informality and warm life person that features reveal his social intercourse aspect. Contemporary 21 century right point in time, aesthetics of communication has to re-illuminate, I expect to appear as a contemporary Cheongjeongbeopsinbul such as Choeui’s social intercourse spirit which conducts just like wind not catch net of ideology, study, and religion.

목차

1. 서론
2. 歷代 儒佛交遊 背景
3. 艸衣禪師의 儒佛 交遊詩 樣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美善(Kim, Mi-seon). (2017).儒佛交遊 양상과 배경에 대한 고찰. 동방한문학, (71), 121-152

MLA

金美善(Kim, Mi-seon). "儒佛交遊 양상과 배경에 대한 고찰." 동방한문학, .71(2017): 121-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