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晦齋 箴銘의 내용과 성격 및 문학사적 의미

이용수 6

영문명
Literary Significance and Contents Characteristics of Hoejae(晦齋) s Jam-myeong(箴銘)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金潤圭(Kim, Yun-kyu)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77호, 289~33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晦齋 李彦迪(1491~1553)의 잠명은 동아시아 고대로부터 전해진 잠명문학의 전통을 이어 고려시대에 왕성하게 창작된 한국 우의적 잠명문학을 성리학적으로 전환시킨 선도적 업적이다. 이 논문은 회재의 잠명을 검토하고 그 문학적 특성을 살피며 한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점검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회재의 잠명은 그가 27세 되던 해에 지어진 「元朝五箴」으로부터 그가 강계 유배지에서 57세에 지은 「定靜銘」까지 3잠 3명이 남아 있다. 그 중에서 「元朝五箴」은 畏天․養心․敬身․改過․篤志의 다섯 잠문을 포괄하고 있어서 실제로는 7잠 3명이 회재 잠명의 전량이다. 회재 잠명을 일관하는 주제는 克己復禮이다. 그는 성실하게 공부하는 학자이면서 이를 일상의 삶 속에 실천하는 수련자로서, 자신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유혹과 위험에 대해서나 내부에 일어나는 사사로운 욕심과 게으름 등에 대하여 단호하게 배격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하늘을 두려워하고 마음을 기르며 몸을 공경하고 허물을 고치면서 뜻을 독실하게 하겠다는 것이 「元朝五箴」에서 천명한 삶의 태도이다. 그의 「立箴」은 30세에 공자의 三十而立 고사에 비추어 자신이 철학적으로 인격적으로 자립하였는가를 반성하고 다짐하는 잠문이며, 「自新箴」은 日新又日新의 盤銘을 본받아 날마다 새롭게 되기를 다짐하는 글이다. 이렇게 세 잠문은 제목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해가 바뀔 때나 유념할 만한 나이가 되었을 때에 反省과 自警을 목표로 지어진 글이다. 회재의 명문은 3편이 있다. 그 중에서 「定靜銘」과 「知耻銘」은 제목에서 내세운 바와 같이 고요함에 안정되리라는 소망과 부끄러움을 알아야 하겠다는 다짐을 밝힌 글이다. 특히 염치를 알지 못하는 이에 대한 확실한 배격을 담고 있는 「知耻銘」은 여러 가지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장문으로 쓴 명문이다. 회재의 명문 중에서 유교적 덕목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자아를 드러내고 있는 작품은 「無絃琴銘」이다. 이 작품에서는 번거롭고 시끄러운 세상의 포폄을 벗어나 태고의 천진에 노닐고 싶다는 자아의 소망이 드러나 있다. 문학적으로 회재의 잠명은 克己復禮를 최종 목표로 하는 유교적 성격의 교술문학이다. 작중에서 자아에게 가해지는 세계의 압박은 대부분 사욕이나 태만 등의 내부적 放心 상태이다. 이렇게 내부적 방심에서 자신의 바른 마음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다 보면 지나치게 교훈적 서술로 흐르게 되어 문학적 긴장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회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어를 달리하거나 창의적으로 반복하기도 하고, 반증을 들거나 문답체를 사용하여 글의 생동감을 높이기도 하였다. 회재 잠명은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기물명류의 잠명문학이 주로 우의적 풍자적 성격을 가지고 창작되던 것이, 조선 후기 잠명에서는 거의 대부분 自警類 또는 警世類의 교훈적 성격으로 변화하는 계기점에 회재의 잠명이 자리 잡고 있다. 조선 후기 학자들에게 회재가 존경받은 크기만큼 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창작된 잠명문학의 성향에도 회재의 영향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Hoejae Lee Eonjeok(晦齋 李彦迪, 1491~1553) s proverbs and mottos(Jam『yeong, 箴銘) carried out a leading role in transforming Korean allegorical Jam-myeong literature, which was actively created in Koryeo Dynasty in accordance with Jam-myeong tradition passed down from ancient East Asia, into Neo confucianism way. This study is done to examine Hoejae s Jam-myeong, evaluate its literary properties and its significance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mong Hoejae s Jam-myeong, there are 3 Jams(箴) and 3 Myeongs(銘) remaining, from 「Won-jo-o-jam(元朝五箴)」written at his age 27 to 「Jeong-jeong-myeong(定靜銘)」 written at his age 57 during his exile in Gang-gye. 「Won-jo-o-jam」 contains five Jams, Woe-cheon(畏天, reverence to heaven), Yang-shim(養心, cultivate consciousness), Gyeong-shin(敬身, honor my body), Gae-gwa(改過, repentence), and Dok-ji(篤志, resolute will), so actually 7 Jams and 3 Myeongs are the total remaining Hoejae s Jam-myeong. The consistent theme of Hoejae s Jam-myeong is ‘suppressing one s greed and abiding by the courtesy[克己復禮].’ He was an earnest scholar and man of discipline who practiced his understandings in life. He strongly opposed personal inner greed and idleness, or external temptations and dangers. Based on such attitude, he declared his life attitude in 「Won-jo-o-jam」 to fear the heavens, introspect the mind, respect the body, mend the flaws, and establish his will. 「Ip-jam(立箴)」 was written when he was at the age 30, and there he introspects and determines to be more philosophically and morally independent according to Confucius teaching ‘on 30 years old I established myself(三十而立)’, and in 「Ja-shin-jam(自新箴)」 he determines to follow ‘be the new person each and every day emulating[日新又日新]’ admonition. These three Jams, as they imply in their titles, were written to introspect and self-warn when he reached certain age or at new years. There are 3 Myeongs written by Hoejae. Among them, in 「Jeong-jeong-myeong(定靜銘)」 and 「Ji-chi-myeong(知耻銘)」, as it is implied in the title, he expresses his determination to acknowledge his shame and his hope to settle in peace. Especially in 「Ji-chi-myeong」, a lengthy Myeong that uses various expressions, he strongly opposes ones who don t know any shame. Among Hoejae s Myeongs, in 「Mu-hyeon-geum-myeong(無絃琴銘)」 he expresses his ego relatively free from Confucianism virtues. In this work, he shows his hope to be liberated from all the compliments and evaluations of cumbersome and troublesome world and to live freely in the primordial nature. In literary aspect, Hoejae s Jam-myeong is Confucianism didactic essay with Geuk-gi-bok-rye(克己復禮) as its ultimate goal. In his writings, most of the sufferings arose by the world around him are mostly caused by inner carelessness state, such as personal greed or idleness. When a work has a goal to grow upright heart against inner carelessness, writings become to have less literary tension because they usually have excessively didactic character. In order to avoid this, Hoejae used different terms, or repeated terms in creative ways, or he used counterevidence or interlocutory to enhance writing s vitality. Hoejae has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Koryeo Dynasty, Ki-mul-myeong style (proverbs written at daily necessities) Jam-myeong literature was created mostly with allegorical and satirical property, but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st of Jam-myeong literature was created with didactic property of vigilance and warning, and Hoejae s Jam-myeong lies at the transition. As much as the late Joseon Dynasty scholars respected Hoejae, their following Jam-myeong literature were highly influenced by Hoejae.

목차

1. 논의할 문제
2. 회재 잠명의 내용과 성격
3. 회재 잠명의 문학적 특징
4. 회재 잠명의 문학사적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潤圭(Kim, Yun-kyu). (2018).晦齋 箴銘의 내용과 성격 및 문학사적 의미. 동방한문학, (77), 289-332

MLA

金潤圭(Kim, Yun-kyu). "晦齋 箴銘의 내용과 성격 및 문학사적 의미." 동방한문학, .77(2018): 289-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