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차문화공간과 풍류에 관한 연구

이용수 490

영문명
A Study on the Korean Tea Culture Space and Pungryu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김길령(Kim, Gil-ryeong)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54집,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풍류와 차문화, 풍류사상이 내재된 한국차문화공간의 특징을 살펴보고 누정문화를 중심으로 내용을 고찰하였다. 첫째, 풍류는 선비정신, 심신수양, 탈속 등의 상징적인 가치관들이 풍류사상으로 이어지며 놀이, 춤, 민속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한국의 예술장르 분야에서 활용과 전승이 이어져 왔다. 풍류도는 자연 속에서 노니는 것만이 아니라 모든 생명체를 기르고 다스리는 자연에 대한 경배와 사랑하는 정신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풍류정신은 자연주의와 인본주의적 민족사상을 담고 있으며 차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국의 차문화공간은 자연환경을 활용한 자연친화적인 차문화공간과 인공환경의 차문화공간이 있으며 이것은 차의 정신이 구현된 인간행동으로서의 차문화공간을 의미한다. 전(殿), 정자(亭子), 루(樓), 누각(樓閣), 누정(樓亭) 등에서 차를 즐겼으며, 이들 중에서 특히 누정은 정자와 누각을 함께 일컫는 명칭이다.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새로운 가치관을 창출하기 위한 자연 친화의 소박함을 표현하는 공간이며 선비들의 정신세계를 담고 있어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와 문화 생활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셋째, 누정의 차문화에 관한 내용으로 누정은 학문을 쌓고 풍류와 차를 즐기던 공간이었다. 강릉의 한송정, 경포대, 안동의 만휴정(晩休亭), 고산정(高山亭), 강진의 백운동(白雲洞)별서, 강릉 선교장의 활래정(㓉來亭)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풍류사상이 담긴 한국의 차문화는 ‘누정’의 자연친화적인 공간을 활용하여 단지 차를 음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심신의 안정과 재생산을 위한 휴식의 장소였으며, 내면을 다스리고 삶의 지혜를 나누는 교감의 공간이었다. 또한 삶을 윤택하게 하는 형이상학적인 공간이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ea culture space where Korean Pungryu, tea culture, and Ideology of Pungryu are inherent. Especially, it looks into the contents focusing on Nujeong culture. First, Pungryu is a combination of symbolic values such as scholar spirit,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freedom, harmony, sharing, deconstruction, and elegance. This has led to the use and is handed down as one of art genres through play, dance, and folk music. Pungryudo in the same vein contains not just spending time in nature, but also means a spirit of worship and love toward Mother nature. This connect to naturalism and humanistic national ideas which influence tea culture. Second, Korea s tea culture space divides to a nature-friendl tea culture space and artificial architecture. This implies a tea culture space as a human action in which the spirit of tea is embodied. Tea is enjoyed in those space of Jeon(殿), Won (院), Jeongja(亭子), Lu(樓), Nugak(樓閣), and Nujeong(樓亭). Nujeong is a name that refers to both Jeongja(亭子) and Nugak(樓閣). It is a space where to realize the reason of nature and create new values with world view of scholars of the time, having a deep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ose days. Third, this s udy examines Hansongjeong in Gangneung, Gyeongpodae, Manhyujeong in Andong, Gosanjeong, Baekundong Annex in Gangjin, and Hwalaejeong in Gangneung Seongyojang. Nujeong is a space where built s udies and enjoyed the arts and tea. In conclusion, the Korean tea culture containing the idea of Pungryu is not only a place to drink tea using the nature-friendl space of Nujeong, but also a space of communion to govern the inside and share the wisdom of life. It is also a metaphysical space that enriched life as a resting place for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and reproduction.

목차

Ⅰ. 서 론
Ⅱ. 풍류와 차문화
Ⅲ. 차문화공간의 정의 및 누정(樓亭)의 특징
Ⅳ. 차문화공간으로서의 누정(樓亭)문화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길령(Kim, Gil-ryeong). (2021).한국 차문화공간과 풍류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학, 54 , 1-30

MLA

김길령(Kim, Gil-ryeong). "한국 차문화공간과 풍류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학, 54.(2021):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