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축표피 재료의 시각특성 및 호감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413

영문명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or Architectural Exterior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공가요(Kung, Chia Yao) 조택연(Cho, Taig Youn)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6, No. 4(통권 21권), 29~5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건축 재료는 건축을 구상하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다. 그러나, 재료를 사용해도 건물의 아름다움을 다루어지는 것이 늘 쉽지 않고 도전적이다. 하지만, 요즘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관찰을 통해 건축 재료의 사용에 관련적인 공통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경미학과 진화미학의 선행연구와 건축 재료를 탐구하기로 했으며, 새로운 관점과 개념으로 재료의 시각적 특성 및 이에 대한 선호를 집중하여 논의하였다. 건축 표피 재료가 가진 의미와 미적 가치의 정의로 시작하였는데 이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통해 아직 검토하기 어려운 점을 발견했다. 그래서 과학적인 관점으로 인간의 뇌 시각 자극 처리 과정을 살펴본 후, 미적 인식의 생성을 논의하기 위해 신경 미학 연구를 도입했다. 복측과 배측경로에 관한 조사는 인간이 어떻게 미적 인식을 생성했는지에 대한 과정이 명확히 했으며, 인간은 시각적 자극을 통해 아름다움에 대한 식별이 될 수 있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는 미의 공통성과 어떤 시각 요소를 인간의 미의식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을 살펴보기 위해 진화미학적인 선행연구를 도입하여 이 근거로 인류의 선천적인 미학적 감각이 생존본능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어, 시각적 특성에 대한 인간의 인식 결과와 재료의 시각적 특성에 대한 선호를 확보하기 위해 2 단계의 설문이 수행되었다. 결과에 따라, 인간이 특정한 시각적 요소에 대한 높은 호감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앞서 언급했던 신경미학과 진화미학과의 근본적인 연관성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미적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기본적인 능력으로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고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Material is one of the critical parts to construct architecture. However, using materials to shape the aesthetics of the architecture has always been a challenging part for designers. Somehow, through recent projects it seems that there are some common relevance in the use of architectural materials. Therefore, of this research used neuroaesthetics and evolutionary theories to investigate architectural materials, started from defining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exterior materials and their aesthetic value, discovered the shortcomings of current research on building materials, then analyzed the human brain s perception process of visual stimuli from the scientific perspective to confirm what visual characteristics can be perceived immediately. Next, introduced neuroaesthetics studies to discuss the generation of beauty cognition. The survey on the ventral and dorsal pathways clarified the process of how humans generated aesthetic cognition and human indeed be conscious of the perception of beauty through visual stimuli. To dig into the commonality of beauty and what visual component could arouse humans beauty consciousness, used the advanced research of evolutionary aesthetics. To confirm the results of humans perception of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reference of visual properties of materials, two stages of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results, it can be clarified that humans have a higher degree of favorability towards specific visual elements. Exploring the reasons can have a grounded association with neuroaesthetics and evolutionary aesthetics. At the same time, it is confirm that even those who have not received aesthetic education have a certain degree of ability to appreciate beau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Architectural Exterior and Materials
Ⅲ. Aesthetic Preference of Materials
Ⅳ. Investigation
Ⅴ. Cond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가요(Kung, Chia Yao),조택연(Cho, Taig Youn). (2021).건축표피 재료의 시각특성 및 호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6 (4), 29-51

MLA

공가요(Kung, Chia Yao),조택연(Cho, Taig Youn). "건축표피 재료의 시각특성 및 호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6.4(2021): 29-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