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통한 디지털 집단과의 소통
이용수 206
- 영문명
-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population through the design thinking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경아(Lee, Kyung ah) 오수진(Oh, Soo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6, No. 4(통권 21권), 128~13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논제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핵심인 협업을 위한 소통의 중요성이다. 극변하는 이 시대, 디지털 혁명 속에서 성장한 디지털 세대와 소통은 이전 세대와 공감에서 많은 격차를 보이며 때론 갈등을 빚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세대 집단의 특성을 파악해 협업에서 소통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Z세대를 중심으로 현재, 디지털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X, M세대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의 결과는 NVIVO12를 사용해 정성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또한 정성 데이터의 2차 분석을 위해 Z세대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집단의 특성을 디지털 개척자(digital pioneer), 창조적 생산자(creative producer), 일상 소통가(everyday communicator), 정보 수집가(information gatherer)로 정의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정성 데이터의 내용을 바탕으로 디지털 집단이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서 효과적으로 소통 가능한 키워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키워드는 디지털 집단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소통의 키워드와 통합해 디지털 집단과의 소통을 위한 관계성에 대해 논의 하고 이를 개념도로 도출하였다. 디지털 집단과 디자인 씽킹의 소통 관계 개념도는 디지털 집단과의 소통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통해 나온 각 단계의 소통 키워드와 질적 조사를 통해 도출된 디지털 집단의 소통 키워드를 분석해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을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에서 디지털 집단이 주체가 되어 학술적으로나 산업경제적인 측면에서 연구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진다. 디지털 집단의 개념을 단순히 디지털 기반의 세대별 의미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문화가 주가 되는 다양한 세대를 특정 집단으로 정의해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topic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for collaboration, which is the core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generation who grew up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revolution is in conflict with the previous generation, showing a sympathetic gap. To solve this problem, it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population and understand the interaction of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more smoothly in collabora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Generations X, M, and Z, who are enjoying digital culture centered on Generation Z.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were derived as qualitative data using NVIVO12. In addition, for the secondary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population centered on Generation Z were defined into digital pioneer, creative producer, everyday communicator, and information gatherer. The core of this study is that,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digital population studied what keywords can communicate effectively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keywords of communication derived through the digital population and the keyword of communication required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relationship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group was derived as a conceptual diagra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is meaningful that the concept of digital group does not simply define the meaning of each generation based on digital, but that various generations where digital culture is the main focus are defined and studied as a specific group. In addition, it is worth research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 education of digital groups based on the culture of digital population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디지털 집단에 대한 질적 연구
Ⅳ. 디자인 씽킹을 통한 디지털 집단과의 소통 관계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C-PBL을 적용한 3D CAD 디자인 교육 활용 사례 연구
- 브랜드 에쿼티 관점에서 LOUIS VUITTON의 지식재산권 사례 분석
- 뷰티 셀프케어 IoT 음성 DB 프레임워크 연구
- 메타버스 환경에서 가상공간을 위한 평행론적인 활용 연구
- 증강현실을 활용한 패키지디자인 시각 요소의 공간과 표현 확장성
- 공공공간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이 재방문 의도와 정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진흥원을 위한 Visual Identity 중심의 새로운 CI 개발에 관한 연구
- 학습몰입 측면에서 자율학습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석 연구
- 한국 대학교의 상징 활용 유형에 대한 분석
- 인지 신경과학에 기초한 문화기호 미의식에 대한 다층위적 해석
- 비대면 진료를 위한 TEMI UI/UX 디자인 개발
- 창업기업의 발전에 따른 디자이너의 역량에 관한 고찰
- 비대면 시대 기업의 디지털 키오스크 공간디자인 활용 연구
- 소백산 힐링관광클러스트 활성화 방안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Arts Propel 기반 어린이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 패키지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그래픽이 창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PCCS 색채계를 기반으로 한 일러스트레이션 작품 색채 연구
- 다중지능이론과 홀랜드이론을 활용한 기초조형에 관한 연구
- 형상 문법이 건축 조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한 전시 공간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중국 패션브랜드의 컬래버레이션 제품 디자인의 특징에 대한 소비자 호감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견과류 간식 패키지의 시각디자인 요소가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서비스 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레임워크
- 버넷 뉴먼(Barnett Newman) 작품의 숭고미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통한 디지털 집단과의 소통
- 수요자를 위한 시니어 코하우징 개발 필요성 제안
- 특성화고등학교에서 PBL을 활용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수업 연구
- 광고에 나타난 팝아트의 패러디(Parody) 속성에 관한 연구
- 반려동물 친화형 공동주택 주거계획 특성 연구
- 건축표피 재료의 시각특성 및 호감성에 대한 연구
- 2020년도 전체 순위를 중심으로 카카오톡 인기 이모티콘의 디자인 트렌드 분석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아동친화마을만들기 프로세스 연구
- 애플 TV광고 표현기법 분석을 통한 의미 상관성 연구
- 컬러 블랙
- 중국공공기관 인포그래픽의 수사적 확장방안 연구
- 캠퍼스타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 식생활 변화와 사용자 니즈 분석을 통한 즉석 및 가정 간편식 조리기기 디자인 제안
- 병원동행자의 서비스 선택속성
- 360° 여행 비디오에 사용된 자막/나레이션과 이용자 반응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4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목차
- 디지털 시대 한국 시각장애인의 보행 경험 개선을 위한 테크놀로지 방향성 연구
- 제품, 서비스, XR에서의 경험디자인 - 프로세스, 과제 및 진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