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표적시장 선정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이용수 69

영문명
Establishment of commercialization strategy through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target market selection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조용경(Cho, Yongkyung) 임지은(Im, Jieun) 윤영호(Yoon, Youngho)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9권 제4호 (통권 제54호), 1~1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AI 스마트 하우징은 국가적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시장 활성 및 시장 선도가 요구된다. 시장 활성화 및 선도를 위해서는 개발 단계에서부터 사업화 전략이 필요하며, 사업화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먼저 표적수요의 선정이 요구된다. 표적 수요를 선정하는 방법에는 STP 프로세스가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시장세분 요소를 기반으로 AI 스마트 수요자 시장 세분요소를 성별, 연령, 가구규모, 거주지역, 소득, IT 친숙도 등으로 도출하였다. 시장세분요소별로 시장을 세분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가구규모가 작을 수록, 지역적으로도 서울, 세종시 보다는 제주, 전라도, 강원도, 충북, 광주, 경기도 등이, IT 친숙도가 높은 층에서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화된 세분요소로는 소득이 낮거나 높은 층에서 필요도 인식이 높았고, 연령이 낮은 20-30대 층과 50대 이상 장년층 이상의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표적시장은 20-30대와 고령층으로 이원화하고, 소득 측면에서도 저가형과 고가형으로 이원화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IT 친숙도 측면에서도 IT 친숙도 ‘중’인 세분시장 중 판단을 유보한 층이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 및 저변확대를 위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하는 세분시장임을 도출하였다. 지역적으로는 시점적용을 위해서는 서울, 세종시 보다는 제주도나 강원도 등 타 지역이 더 유리하다는 전략의 도출이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의 총 수요는 전국 아파트 거주 가구 10,780,401가구이며, 잠재수요는 7,729,548가구라는 표적수요의 량도 도출했다.

영문 초록

AI smart housing requires market activation and market leadership through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order to revitalize and lead the market,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is required from the development stage. A method for selecting target demand is the STP process. To this end, based on general market segmentation factors, AI smart consumer market segmentation factors were derived such as gender, age, household size, residential area, income, and IT familiarity. As a result of segmenting the market by market segmentation factor, as a result of segmentation of the market by market segment, more women than men, and smaller households, geographically more Jeju, Jeolla-do, Gangwon-do, Chungbuk, Gwangju, and Gyeonggi-do than Seoul and Sejong-si, and Gwangju, Gyeonggi-do were more popular among those with high IT familiarity. appeared to be necessary. As for the dual subdivision factors,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low or high income had a higher awareness of need, a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with low age and those in their 50s or older had higher needs. Combining these results, it was deduced that the target market should be divided into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elderly, and in terms of income, it should be divided into low-priced and high-priced models. In addition, in terms of IT familiarity, it was deduced that among the sub-markets with ‘medium’ IT familiarity, those who had withholding judgment should approach strategically to activate AI smart housing services and platforms and expand the base. Regionally, it was possible to derive a strategy that other regions such as Jeju-do or Gangwon-do were more advantageous than Seoul and Sejong-si for the point-in-time application. Finally, the total demand for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is 10,780,401 households living in apartments nationwide, and the potential demand is 7,729,548 household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표적시장 선정 도출 실증분석 방법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경(Cho, Yongkyung),임지은(Im, Jieun),윤영호(Yoon, Youngho). (2021).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표적시장 선정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 (4), 1-11

MLA

조용경(Cho, Yongkyung),임지은(Im, Jieun),윤영호(Yoon, Youngho).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표적시장 선정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4(2021): 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